-
경계심이 안도감으로…"코스피 9월 FOMC까지는 순항 가능성" [美 7월 CPI 8.5% 상승]
증권 국내증시 2022.08.11 17:38:32인플레이션 피크아웃 기대감에 코스피가 반등했다. 7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경계감이 안도감으로 바뀌면서 2500선을 기점으로 꾸준한 상승 랠리를 펼칠 것으로 전망된다. 9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전까지는 매크로 불확실성에서 자유로워진 증시가 상승 곡선을 그릴 가능성이 커졌다는 것이다.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는 전날보다 42.90포인트(1.73%) 오른 2523.78에 장 마감했다. 이틀 전 2500선 회복에 성공했던 코스피는 7월 CPI 발표를 앞두고 경계감이 유입되며 전날 2400선으로 후퇴했다. 이후 인플레이션 피크아웃에 대한 기대감이 형성되며 이틀 만에 2500에 안착했다. 코스닥도 전날보다 11.88포인트(1.45%) 오른 832.15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피 시장에서는 기관과 외국인투자가의 매수세가 집중됐다. 기관은 4670억 원어치를 순매수했다. 9거래일 연속 순매수세를 보이다가 전날 순매도세를 나타낸 외국인은 이날 1367억 원을 사들이면서 지수 상승에 힘을 보탰다. 전날 밤 3% 가까이 급등한 나스닥의 영향을 받아 국내 증시도 기술주를 중심으로 투자 심리가 개선됐다. 네이버·카카오(035720) 등 정보기술(IT) 성장주들이 반등했다. 네이버(2.10%), 카카오(4.23%)뿐 아니라 카카오게임즈(293490)(5.28%), 카카오뱅크(323410)(5.07%), 크래프톤(259960)(4.15%) 등 성장주가 전반적으로 급등세를 나타냈다. LG에너지솔루션(373220)(3.06%), 포스코케미칼(003670)(4.90%) 등 2차전지 관련주도 크게 올랐다. 증권가는 미국의 인플레이션 피크아웃이 확인되고 통화정책의 불확실성이 점차 줄어들면서 코스피의 기술적인 반등이 지속될 수 있다고 내다본다. 그간 시장에서는 7월 CPI 결과에 따라 9월 진행되는 미국 FOMC에서 자이언트스텝(0.75%포인트 금리 인상)을 밟을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하지만 예상보다 낮은 인플레이션 수치가 확인되자 9월 FOMC에서 0.50%포인트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통화정책 불확실성이 한층 낮아졌다. 나정환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은 “국제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대로 돌입하지 않는 한 향후 미국의 물가 상승률은 둔화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한다”며 “9월 FOMC 전까지 매크로 불확실성은 완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물가 상승→기준금리 인상→경기 침체 우려 심화’로 이어지던 악순환이 7월 CPI에서 확인된 피크아웃을 계기로 선순환 고리로 전환될 가능성이 커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그간 증시를 짓눌러오던 우려의 시발점은 인플레이션 심화였지만 7월 CPI를 계기로 악순환이 끊기고 ‘피크아웃 확인→통화정책 안정화→경기 침체 우려 둔화’로 이어지는 선순환이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미국 7월 생산자물가지수(11일 밤 발표), 미시간대 8월 소비자심리지수(12일 밤 발표)도 물가 압력 완화 기대감을 키우고 소비 심리를 개선시킬 것”이라며 “물가 우려가 완화될 수 있다는 기대가 더욱 커지는 선순환 사이클이 이어져 코스피의 기술적 반등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풀 꺾이기는 했어도 과거에 비해 높은 수준의 인플레이션이 연말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데다 경기 침체 가능성도 여전해 주가 상승은 제한적일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200지수 옵션 시세( 8월 11일)
증권 국내증시 2022.08.11 17:32:08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200지수·국채·달러 선물 시세( 8월 11일)
증권 국내증시 2022.08.11 17:26:15 -
[시그널] 경쟁률 14.4대 1…쏘카, 일반 청약도 흥행 '참패'
증권 IB&Deal 2022.08.11 16:51:18국내 카셰어링 1위 기업인 쏘카가 코스피 상장을 위해 공모가를 대폭 낮췄지만 일반 청약에서 14 대 1 수준의 경쟁률로 흥행에 실패했다. 기업공개(IPO) 시장의 침체가 지속되는 모습이다. 쏘카는 지난 10일부터 이틀 간 일반 청약을 진행한 결과 최종 경쟁률이 14.4 대 1로 집계됐다고 11일 밝혔다. 청약 증거금으로는 총 1834억 원이 모였다. 대표 주관사인 미래에셋증권(006800)은 12.98 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고 증거금은 1149억 원을 모집했다. 공동 주관사인 삼성증권(016360)의 경쟁률은 17.6 대 1로 집계돼 총 663억 원의 증거금을 모았다. 인수회사인 유안타증권(003470)은 경쟁률 17.55 대 1, 증거금 22억 원을 기록했다. 기업 가치 고평가 논란에 시중 금리 상승에 따른 성장주 기피, 대기업의 잇따른 상장 철회 등이 한꺼번에 맞물리면서 쏘카 청약에 관심이 시들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쏘카는 앞서 실시한 기관투자가 대상 수요예측에서도 56.1 대 1의 경쟁률로 부진해 공모가를 희망가 범위(3만 4000~4만 5000원)보다 최대 38% 낮은 2만 8000원으로 결정했다. 공모 물량도 기존보다 20% 줄인 364만 주로 확정했다. 쏘카의 우리사주 청약률이 39%로 저조한 것도 일반 청약에 투자가들의 참여가 부진했던 이유로 꼽힌다. 쏘카는 전체 공모주의 20%인 72만 8000주를 우리사주조합에 배정했는데, 이 중 61%인 약 44만 주가 주인을 찾지 못했다. 회사를 잘아는 직원들이 공모주 청약에 별 관심을 보이지 않으면 일반 청약에 적잖이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쏘카와 주관사는 우리사주 청약 실권주를 모두 기관투자가에 배정하면서 일반 청약에서 물량 부담을 최소화하려 했지만 최근 IPO 시장 침체의 벽을 넘지는 못한 셈이다. 쏘카는 오는 16일 공모주 납입을 거쳐 이달 22일 코스피 시장에 상장할 계획이다. -
[마감시황] 코스피, 2520선 뚫었다…美 CPI 하락에 투심 '날개'
증권 국내증시 2022.08.11 16:15:13인플레이션 피크아웃(정점 통과) 기대감 확산에 장 중 내내 상승세를 이어가던 코스피가 2% 가까이 오르며 2520선을 탈환했다. 특히 고물가 기조 진정세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 인상 속도 조절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에 성장주들이 큰 폭 상승했고, 반도체주 역시 외국인 매수세를 흡수하며 반등에 나섰다.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2.90포인트(1.73%) 오른 2523.78에 장마감했다. 이날 코스피는 26.86포인트(1.08%) 오른 2507.74에 출발해 장 중 안정적인 상승세를 유지했다. 장 마감 직전 반등폭을 키운 코스피는 이날 장 중 고가로 거래를 마무리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선 외국인과 기관이 순매수 주체로 지수 반등을 이끌었다. 외국인은 1367억 원을, 기관은 4670억 원을 사들였다. 한편 간만의 상승세에 매물 출회에 나선 개인들은 6071억 원을 순매도했다. 전날 미국 7월 CPI 상승률이 시장 예상치를 밑돌면서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지났다는 기대감이 커지자 위험자산 선호심리가 전반적으로 살아난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 7월 CPI 상승률은 8.5%로 시장 예상치인(6.1%)를 큰 폭 밑돌았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미 연준의 긴축 속도 완화 기대감이 확산되며 미국 증시 전반이 강세를 나타낸 점 역시 긍정적으로 작용했다”며 “나스닥 지수 반등을 이끈 전기차, 반도체주 상승에 따라 국내에서도 2차전지, 반도체, 인터넷주 전반이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위권은 모두 강세 마감했다. 특히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에 민감한 카카오(035720)(4.23%), NAVER(035420)(2.10%) 등 인터넷기술(IT)주들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실제로 이날 외국인과 기관은 카카오를 210억 원, 333억 원어치 사들이며 각각 국내 주식 중 4번째로 많이 사들였다. 이밖에 미국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상승으로 반도체 업종에 대한 투심이 개선되면서 삼성전자(005930)(1.35%), SK하이닉스(000660)(1.63%)도 1%대 상승세를 기록했다. LG에너지솔루션(373220)(3.06%), LG화학(051910)(1.54%), 삼성SDI(006400)(1.14%) 등 2차전지 역시 강세를 이어갔다. 이날 코스닥 지수는 전일 대비 11.88포인트(1.45%) 상승한 832.15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닥 역시 장 초반부터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후 830선에 안착하며 전날의 낙폭을 만회했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매수 주체는 외국인과 기관이었다. 외국인은 691억 원, 기관은 1063억 원어치를 순매수했다. 한편 개인은 1665억 원을 팔았다. 코스닥 시총 상위권은 혼조세로 마무리했다. 카카오게임즈(293490)(5.28%)이 가장 상승폭이 컸고,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0.64%), HLB(028300)(0.11%), 셀트리온제약(068760)(0.56%) 등 바이오주도 강세를 보였다. 반면 에코프로비엠(247540)(-0.82%), 엘앤에프(066970)(-1.48%), 에코프로(086520)(-0.08%) 등 2차전지 소재주는 약세를 기록했다.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코스닥 투자주체별 매매동향( 8월 11일)
증권 국내증시 2022.08.11 15:43:07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 기관·외국인·개인 순매수·순매도 상위종목( 8월 11일)
증권 종목·투자전략 2022.08.11 15:39:46▲기관·외국인 순매수 주요 종목=삼성전자· LG에너지솔루션·LG전자·카카오·두산퓨얼셀·LG화학· 카카오·씨에스윈드· 현대차·포스코케미칼· 엔씨소프트·한화솔루션·롯데케미칼·두산에너빌리티·SK하이닉스·고려아연·카카오뱅크 -
[마감 시황]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세.. 코스피 2523.78(▲42.90, +1.73%) 상승 마감
증권 News봇 2022.08.11 15:34:04오전 상승 출발했던 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의 '쌍끌이' 매수에 힘입어, 전 거래일(2480.88)보다 42.90p(+1.73%) 오른 2523.78로 상승 마감했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은 1,337억, 기관은 4,678억 순매수를 기록하며 상승장을 이끌었으며, 개인은 6,030억을 순매도 했다.업종별로는 비금속광물업(+3.03%), 철강금속업(+2.97%), 서비스업(+2.42%)이 강세를 보였으며, 의료정밀업(-0.09%), 통신업(-0.09%) 등은 내림세로 장을 마감했다.종목별로는 두산퓨얼셀1우(33626K)가 29.95% 오른 14,100원으로 장을 마감했고, 두산퓨얼셀2우B(33626L)(+24.28%), 두산퓨얼셀(336260)(+14.79%)이 오름세를 보였다. 반면 대양금속(009190)(-3.53%), JW중외제약(001060)(-3.16%), LIG넥스원(079550)(-2.91%) 등은 하락 마감했다.금일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771개, 하락종목은 111개를 기록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코스피(마감)] 42.90포인트(1.73%) 오른 2523.78 마감
증권 국내증시 2022.08.11 15:31:31[코스피(마감)] 42.90포인트(1.73%) 오른 2523.78 마감 -
오후 3:00 현재 코스피는 53:47으로 매도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화학업(1.67%↑)
증권 News봇 2022.08.11 15:00:1311일 오후 3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35.72p(+1.44%) 상승한 2516.60로, 53(매도):47(매수)의 매도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비금속광물업(+3.20%), 철강금속업(+2.98%), 서비스업(+2.12%)이며, 약세업종은 의료정밀업(-0.23%), 통신업(-0.20%), 음식료품업(-0.09%)이다. 수급측면으로는 화학업이 57:43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전기가스업은 39:61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889억, 기관은 4,000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4,851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두산퓨얼셀1우(33626K)가 29.49% 오른 14,050원을 기록 중이고, 두산퓨얼셀2우B(33626L)(+22.83%), 두산퓨얼셀(336260)(+14.51%)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대우부품(009320)(-4.44%), JW중외제약(001060)(-3.80%), 대양금속(009190)(-3.53%)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739개, 하락종목은 125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2:30 현재 코스피는 52:48으로 매도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철강금속업(2.79%↑)
증권 News봇 2022.08.11 14:30:1611일 오후 2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33.21p(+1.34%) 상승한 2514.09로, 52(매도):48(매수)의 매도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철강금속업(+2.79%), 비금속광물업(+2.57%), 서비스업(+2.03%)이며, 약세업종은 통신업(-0.30%), 의료정밀업(-0.22%), 음식료품업(-0.03%)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철강금속업이 58:42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전기가스업은 38:62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789억, 기관은 3,676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4,405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두산퓨얼셀1우(33626K)가 27.65% 오른 13,850원을 기록 중이고, 두산퓨얼셀2우B(33626L)(+21.38%), 문배철강(008420)(+14.01%)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대우부품(009320)(-4.00%), JW중외제약(001060)(-3.80%), 대양금속(009190)(-3.65%)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725개, 하락종목은 134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2:00 현재 코스피는 52:48으로 매도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전기전자업(1.36%↑)
증권 News봇 2022.08.11 14:00:2211일 오후 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31.50p(+1.27%) 상승한 2512.38로, 52(매도):48(매수)의 매도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비금속광물업(+2.93%), 철강금속업(+2.54%), 서비스업(+2.23%)이며, 약세업종은 의료정밀업(-0.26%), 통신업(-0.14%)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전기전자업이 57:43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전기가스업은 37:63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994억, 기관은 3,414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4,337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두산퓨얼셀1우(33626K)가 28.57% 오른 13,950원을 기록 중이고, 두산퓨얼셀2우B(33626L)(+23.19%), 두산퓨얼셀(336260)(+14.65%)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대양금속(009190)(-4.26%), 대우부품(009320)(-3.78%), LIG넥스원(079550)(-3.77%)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722개, 하락종목은 143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시황] 코스피 2510선…네카오, 대형주 상승랠리 선두
증권 국내증시 2022.08.11 13:43:58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지났다는 안도가 퍼진 11일 오후장에서 코스피가 안정적 상승 흐름을 이어자고 2510선을 웃돌고 있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주 대부분의 주가에 ‘빨간불’이 켜진 가운데 네이버(NAVER(035420))·카카오(035720)의 반등세가 두드러진다. 이날 오후 1시 40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2.29포인트(1.30%) 오른 2513.17을 나타내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2500선에서 출발해 장초반부터 상승폭을 빠르게 늘려나갔다. 현재는 2510선에서 소폭의 오르내림을 반복하고 있다. 유가증권시장에선 외국인과 기관이 함께 순매수세를 키우고 있다. 외국인이 1087억 원, 기관이 3370억 원을 사들이는 중이다. 반면 개인은 4344억 원을 순매도하고 있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위권은 기아(-0.50%)를 제외한 모든 종목이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인터넷기술(IT)주인 카카오(3.99%)와 NAVER(1.91%)가 가장 큰 반등폭을 보이고 있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 수혜가 기대되는 2차전지주들의 상승세도 눈에 띈다. LG에너지솔루션(373220)(2.51%), LG화학(051910)(0.15%), 삼성SDI(006400)(0.65%) 등은 연일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삼성전자(005930)(0.68%), SK하이닉스(000660)(1.31%) 역시 전일 대비 주가가 올랐다. 같은 시각 코스닥 지수는 전일 대비 9.71포인트(1.18%) 상승한 829.98을 나타내고 있다. 이날 코스닥 지수 역시 개장과 함께 상승 바람을 탔다. 현재 830선 언저리까지 올라 전날의 낙폭을 대부분 만회했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외국인과 기관이 순매수 주체로 나섰다. 외국인은 195억 원, 기관은 1004억 원어치를 사들이는 중이다. 개인은 코스닥 시장에서도 1100억 원을 팔고 있다. 코스닥 시총 상위권은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카카오게임즈(293490)(5.46%)가 가장 가파른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에코프로비엠(247540)(-2.21%), 엘앤에프(066970)(-1.81%), 에코프로(086520)(-1.43%) 등은 약세다. 부진한 2분기 실적을 발표한 펄어비스(263750)(-1.16%) 역시 하락세다. -
오후 1:30 현재 코스피는 52:48으로 매도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운수창고업(1.36%↑)
증권 News봇 2022.08.11 13:30:0611일 오후 1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32.26p(+1.30%) 상승한 2513.14로, 52(매도):48(매수)의 매도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철강금속업(+2.52%), 서비스업(+2.24%), 비금속광물업(+2.16%)이며, 약세업종은 의료정밀업(-0.47%), 음식료품업(-0.33%), 통신업(-0.06%)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운수창고업이 58:42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전기가스업은 38:62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1,030억, 기관은 3,321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4,260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두산퓨얼셀1우(33626K)가 29.95% 오른 14,100원을 기록 중이고, 두산퓨얼셀2우B(33626L)(+25.72%), 화승알앤에이(378850)(+16.25%)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대우부품(009320)(-4.44%), LIG넥스원(079550)(-3.66%), 대양금속(009190)(-3.53%)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729개, 하락종목은 142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2:30 현재 코스피는 52:48으로 매도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의료정밀업(0.04%↑)
증권 News봇 2022.08.11 12:30:2411일 오후 12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31.73p(+1.28%) 상승한 2512.61로, 52(매도):48(매수)의 매도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철강금속업(+2.26%), 비금속광물업(+2.20%), 서비스업(+2.01%)이며, 약세업종은 음식료품업(-0.52%)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료정밀업이 58:42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음식료품업은 44:56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1,152억, 기관은 2,825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3,910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두산퓨얼셀1우(33626K)가 27.65% 오른 13,850원을 기록 중이고, 두산퓨얼셀2우B(33626L)(+19.57%), 삼화왕관(004450)(+14.52%)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LIG넥스원(079550)(-4.74%), 대우부품(009320)(-4.44%), 대양금속(009190)(-4.01%)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718개, 하락종목은 149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오늘의 핫토픽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