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한국은행, 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등 관계자로 구성된 협의체는 지난 4일 최상목 기재부 1차관 주재로 첫 회의를 열고 국책은행의 자본을 확충 필요성에 뜻을 모은 바 있다.
현재 구조조정 자본확충 방법으로는 정부가 현금·현물출자를 통한 재정 투입, 조건부 자본증권(코코본드) 발행, 한은의 산업금융채권·수출입은행 채권 등 인수와 같은 방식이 거론됐다.
특히 최근에는 한은이 2009년 운영된 바 있는 자본확충펀드를 제안하면서 성사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자본확충펀드는 한은이 시중은행에 채권을 담보로 대출하면 은행들은 그 자금으로 펀드를 만들어 다시 시중은행에 대출하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최상목 차관이 지난주 해외 일정을 마치고 귀국한 만큼 이번주 협의체 논의도 급물살을 탈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오는 14일 ‘한국경제보고서’를 발표하고 거시경제 동향에 대한 분석과 전망을 내놓는다.
최근 대내외 경제여건이 뚜렷한 개선세를 보이지 못하는 가운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등 거시지표 전망치가 조정될지 관심사다.
최근 국제통화기금은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2.7%로 낮췄다. 한국은행, 한국금융연구원, 현대경제연구원, 한국경제연구원, LG경제연구원 등 주요기관의 전망치는 현재 2.4∼2.8%다.
한국은행은 오는 19일 오전 6시 4월 생산자물가지수를 발표한다.
지난 3월 생산자물가지수 잠정치는 98.42로 2월보다 0.1% 하락하면서 6년만에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다.
이어 같은 날 정오엔 2015년중 지식재산권 무역수지를 발표한다.
지식재산권 무역수지는 작년 3분기 4억달러의 적자를 내 한은이 관련 통계를 편제하기 시작한 2010년 1분기 이후 적자 규모가 가장 작았다.
과거 지재권 무역수지는 2010년의 경우 100억달러를 넘을 정도로 만성 적자를 보여왔지만 그 규모가 점차 줄면서 개선되는 추세를 보여왔다.
19일에는 경제관계장관회의가 열린다.
20일에는 국가재정운용계획 공개토론회가 개최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