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 측의 이 같은 ‘읍소’에도 채권단은 “용선료 인하와 선박금융은 부족자금을 산출할 때 고려됐던 것”이라며 조양호 한진 회장과 그룹 측의 추가 지원을 재차 요구했다.
한진그룹은 이날 오후 내놓은 공식 자료에서 “독일 HSH노르드방크, 코메르츠방크와 프랑스 크레디아그리콜 등 해외 금융기관이 지난 27일 오전 선박금융 상환 유예 의사를 한진해운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들 해외 금융기관은 그동안 산업은행의 보증이 없으면 상환 유예가 어렵다는 입장이었다. 하지만 한진 측의 설명대로라면 법정관리에 들어갈 경우 더 큰 손해가 불가피하다고 보고 전향적 자세로 돌아선 것으로 분석된다.
선박금융은 자동차를 할부로 사는 것처럼 선박을 매입하며 은행에서 낸 빚을 뜻한다. 한진해운은 국내외 금융사 35곳에서 빌린 선박금융 원금 상환을 내년 말 이후로 미뤄 약 5,000억원의 유동성 확보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주장해왔다.
한진 측은 용선료 조정 협상 역시 “마지막까지 애를 태웠던 캐나다계 선주사 시스팬이 산은의 동의를 조건으로 용선료 조정에 합의해 금명간 22개 선주사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할 수 있게 됐다”고 주장했다.
한진 관계자는 “용선료 조정(8,000억원)과 선박금융 유예(4,700억원)로 총 1조2,700억원의 유동성 확보 효과를 냈다”며 “회사 회생을 위해 정부와 채권단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일범기자 squiz@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