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은 통신요금 문제의 해답이 될 수 있을까. 알뜰폰 활성화로 인해 연간 1조 원이 넘는 가계 통신비가 절감됐다는 조사결과가 나왔지만 이 같은 효과를 실감하지 못하는 이들이 많다. 알뜰폰 사업자들은 우체국에서 개통이 가능하게 하는 등 오프라인 접점을 확충하고 있지만 기존 이통사 대비 영업망이 부족해 가입 문턱이 높은 탓이다. 무엇보다 통신사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공기계인 ‘언락폰(Unlocked Phone)’ 구입이 쉽지 않아 알뜰폰 활성화가 요원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8일 알뜰폰사업자협회와 녹색소비자연대가 지난해 10월까지 열 달 간 알뜰폰 가입자의 가계통신비 절감액을 추산한 결과 9,818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절감액은 이통 3사의 가입자당 평균매출(ARPU) 3만5,791원에 알뜰폰 가입자 ARPU인 1만5,329원을 뺀 후 알뜰폰 가입자 수를 곱하는 방식으로 산출됐다. 지난해 10월 이후 알뜰폰 가입자가 13만 명 가량 늘어난 점을 감안하면 연간 절감액은 1조 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무엇보다 이통3사가 ARPU 산정 시 회선당 매출이 작을 수밖에 없는 웨어러블기기나 사물인터넷(IoT) 이용자 수까지 포함한다는 점에서 알뜰폰 이용에 따른 절감액은 더욱 클 것으로 추산된다.
다만 이통사들이 지금처럼 단말기 유통시장을 장악한 상황에서는 알뜰폰 시장 성장이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알뜰폰 사업자들이 판매하고 있는 휴대전화 품목 자체가 많지 않은데다 그나마 최신 스마트폰은 더욱 구하기 힘든 구조다. 실제 국내 최대 알뜰폰 사업자인 CJ헬로비전이 판매하고 있는 휴대전화는 3G폰을 포함해 18종에 불과하다. 이마저도 오는 10일 출시 예정인 LG전자의 ‘G6’는 물론이고 애플의 ‘아이폰7’과 같이 출시 5개월이 지난 휴대전화도 판매 목록에서 찾아볼 수 없다. 알뜰폰 업체 관계자는 “삼성전자와 같은 단말기 제조업체들은 한 번에 몇 십 만대의 스마트폰을 구입 해 주는 기존 이통사들과 거래하는 것이 비용절감 차원 등에서 훨씬 유리하다”며 “반면 알뜰폰 사업자들은 많아 봐야 몇 천대 정도만 구매한다는 점에서 단말기 업체로부터 물량을 따내기 쉽지 않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최신 스마트폰을 선호하는 알뜰폰 이용자들은 언락폰을 구입해 통신요금 절감에 나서고 있지만 이마저도 제약이 많다. 우선 언락폰은 이통사에서 사는 것보다 최대 10만원 가량을 더 줘야 구매 가능하다. 실제 128 기가바이트(GB) 용량의 애플 ‘아이폰7’은 출고가가 99만9,900원인 반면 애플 온라인 매장을 통해 언락폰으로 구입하면 106만 원으로 6만 원 이상 비싸다.
국내 업체 상품은 장벽이 더욱 높다. 삼성전자의 ‘갤럭시S7’ 64GB 상품의 경우 관련 온라인 사이트에서 언락폰 구입창을 찾기 힘들었으며 언락폰 가격 또한 판매점마다 다른 구조다. 삼성전자 판매점에 문의한 결과 “갤럭시S7 64GB의 경우 출고가는 82만1,700원이고 언락폰은 90만 4,000원이다. 64GB의 경우 골드색상 하나밖에 안 남았다”고 답하기도 했다. LG전자 또한 오는 10일 출시되는 G6의 언락폰 가격을 온라인에 공개하지 않고 있으며 일선 대리점이 결정하도록 했다. 이 때문에 관련 커뮤니티 등을 살펴 보면 해외 직구 등으로 휴대전화를 조달하는 사용자들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출고가는 도매가이고 온라인 스토어 등에서 판매하는 가격은 소매가이기 때문에 마진이 추가로 붙어서 가격 차이가 나는 구조”라며 언락폰 가격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다만 이통사에서 스마트폰 구입 시 받을 수 있는 공시지원금은 이통사와 단말기 제조사가 갹출해 비용을 부담한다는 점에서 언락폰의 가격이 지나치게 높다는 주장도 있다. 단말기 제조업체는 언락폰을 팔 경우 이통사에서 판매할 때와 달리 공시지원금 부담이 없어 충분히 이익을 거둘 수 있는 구조라는 이유에서다. 녹색소비자연대 측은 이통사의 언락폰 가격이 비싼 것과 관련해 “제조사와 통신사의 담합이 의심된다”며 지난달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하는 등 문제 제기가 계속되는 상황이다.
/양철민기자 chopin@sedaily.com
◇알뜰폰 사용에 따른 통신비 절감액 추이(단위: 억원)
연도 | 절감액 |
2013 | 3,314 |
2014 | 6,382 |
2015 | 8,395 |
2016 | 9,818 |
자료:알뜰폰사업자협회(단 2016년은 10월까지 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