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 본연의 자금공급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서라도 초대형 투자은행(IB)는 꼭 필요하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6일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한국경제사회연구소와 금융투자협회 공동 주최로 열린 조찬 간담회에 “기존 은행, 벤처캐피탈 만으로 성장기업에 대한 모험자본 공급이 부족하다”며 이 같이 말했다.
IB출범과 관련해 금투업계와 은행권의 갈등이 일고 있는 상황에 대해 해법을 찾겠다고 설명했다.
최 위원장은 “금융산업이 발전하려면 영업 범위를 넓혀줘야 하지만 금투업권은 정책이 너무 은행 위주라고 생각하고 은행권은 초대형 IB등에 불만이 있다”며 “금융당국은 산업간 균형을 지키면서도 발전시키는 방안을 강구 중”이라고 밝혔다.
코스닥 활성화 의지도 다시 한 번 피력했다.
지난 달 혁신성장 현장 간담회에서 “코스닥시장 상장요건을 전면 재정비하고 과감한 세제혜택 제공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최 위원장은 이날 간담회에서도 “코스닥시장이 발전하려면 혁신성장 기업을 지원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라며 강조했다.
이어 “국민연금의 경우 코스피에는 98%나 투자하지만 코스닥에는 2%만 투자하고 있다”며 “코스닥 상장사 중에 투자 대상이 많지 않고 실적 평가도 어렵다는 의견이 있어 이를 반영해 연말까지 코스닥 시장 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
한편 같은 날 열린 자본시장연구원 주최 ‘혁신성장을 위한 금융의 역할’ 세미나에서는 국내 벤처기업의 자금 조달에서 민간 모험자본의 역할이 극히 미미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종민 자본시장연구원 펀드·연금실장은 “우리나라 벤처기업이 조달한 자금 중 대부분은 정책지원금(37%)과 일반금융(23%) 등 보증이나 대출 방식이고 벤처캐피탈(VC)이나 엔젤투자는 0.1%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글로벌 시장이 벤처캐피탈, 크라우드펀딩, 사모투자, 액셀러레이터 등 모험자본을 통한 자금 조달 비중이 28%에 달하는 상황과는 완전히 상이한 구조다. 이 가운데 액셀러레이터는 성공한 벤처기업가가 유망한 창업 기업을 발굴, 멘토링과 투자를 지원해 성장을 가속화하는 방식으로 우리나라에서는 2010년 최초의 액셀러레이터인 ‘프라이머’가 설립된 이후 약 20개사가 운영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김 실장은 “정부의 창업지원 사업 상당수가 액셀러레이터의 역할과 겹친다”며 “정부 참여는 어느 정도 불가피하지만, 자칫 정책 목표나 제도에 부합하지 못하는 민간영역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고 꼬집었다.
그는 민간 모험자본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부 역할은 ▲ 창업 관련 기초 인프라 조성 ▲ 창업기업과 민간 투자자 연계 ▲ 산업 특성상 연구개발(R&D) 지원이 필요한 기초과학 등으로 한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박성규기자 exculpate2@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