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디스플레이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정부 산하 산업기술보호위원회는 관련 안건을 심의했다. 산업기술보호위원회는 심의 결과를 이달 열리는 본회의(위원장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에 올려 최종 결론을 낸다는 방침이다. 아직 본회의 날짜는 결정되지 않았지만 연내 개최 방침에는 변화가 없는 상황이다. 일각에서 산업기술보호위원회가 한 차례 더 열리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있었지만 가능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기술보호위원회에서 중지는 모였다는 의미다. 일단 정부는 외부에 산업기술보호위원회 논의 결과를 철저히 함구하고 있다. 아직 본회의 의결 절차가 남아 있는 만큼 섣불리 결과를 알릴 필요가 없다고 보는 탓이다.
이 때문에 LG디스플레이 내부에는 팽팽한 긴장감이 감돈다. 중국 투자가 무산되면 투자를 전면 재수정해야 해 사실상 배수진을 쳤다. LG디스플레이로서는 총 5조원의 투자액 가운데 2조4,000억원을 현지에서 차입하고 합작사 자본금(총 2조6,000억원)도 8,000억원을 중국 정부가 대는 등 지원 조건이 좋을 뿐만 아니라 중국이 프리미엄 시장의 최대 고객이라는 점에서 중국 투자를 포기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한마디로 글로벌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중국 투자는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아울러 설계를 비롯한 핵심 공정은 우리 쪽에서 맡아 정부가 우려하는 기술 유출 가능성도 거의 없다고 자신한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ㆍ사드) 보복에 따른 양국 긴장 관계도 점차 해소되고 있는 점도 긍정적이다.
다만 일자리 유출에 따른 정부 부담은 여전히 결과를 예단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꼽힌다. 특히 정부는 차세대 핵심 기술인 OLED 패널 생산공장이 해외로 나가는 첫 사례라는 점에도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업계의 한 관계자는 “민간 위원이 90%가량 되는 산업기술보호위원회에서 내린 결론을 본회의에서 뒤집는 것은 부담이 큰 만큼 정부 방침은 이미 정해졌을 것”이라며 “중국 투자를 막는다고 국내 투자를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는 점이 반영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재계의 한 고위 관계자는 “정부가 핵심 산업을 국내에 잡아놓겠다는 의지가 강한 것만은 틀림없는 것 같다”며 “하지만 우리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훼손을 감수하면서까지 밀어붙이는 것은 무리”라고 지적했다.
/이상훈기자 shle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