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유가 상승으로 중동 국가들의 경제가 회복되면서 국내 기업들의 현지 진출을 독려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정부가 중동 전략국가들과 경제외교를 강화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22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법무법인 태평양, 글로벌 로펌 CMS와 함께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솬에서 ‘2018년 중동진출세미나’를 열었다. 권태신 전경련 부회장은 “중동은 지금도 우리나라 해외건설 수주의 50%를 차지하고 있고 젊은 층 인구와 생활수준 향상을 바탕으로 1조 달러 수입시장을 형성했다”고 말했다. 이어 “포스트 오일 시대를 대비한 UAE·사우디의 산업 다각화가 성과를 내고 이란, 이라크 등이 경제재건 프로젝트를 추진하면 제2의 중동 특수가 본격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동은 국제유가 상승에 힘입어 최근 2~3년 간 지연되거나 취소됐던 건설 프로젝트들이 재개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중동 경제지 MEED에 따르면 2018년 중동·북아프리카(MENA) 지역의 건설 발주액이 지난해보다 15.6% 증가한 1,866억달러(약 201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또 UAE와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부국들이 석유 다음 시대를 준비하면서 산업을 다각화하는 것도 호재라는 분석이다. 최병훈 KOTRA 전략시장진출단장은 “중동은 2000년대 접어들면서 포스트 오일 시대를 대비하여 산업구조 다각화·국가개혁이 이루어지면서 제조업·보건의료·ICT·바이오·재생에너지 분야로 우리 기업의 비즈니스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우리 기업들이 중동시장에서 기회를 얻기 위해서는 정부가 지원에 나서야 한다는 조언도 나왔다. 엄치성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중동을 중국, 아세안을 잇는 무역한국의 새로운 수출기지로 만들려면 건설·플랜트뿐만 아니라 중동의 새로운 성장분야에 대한 진출 전략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UAE와 사우디, 이란, 이라크 등 4대 전략국가를 중심으로 경제외교를 통해 지원에 나설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란과 이라크 시장은 법률적인 위험과 정세 불안 등이 있기 때문에 진출 전에 충분한 시장조사와 법률 자문을 받을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구경우기자 bluesquar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