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2월 말 기준 국내 부동산 펀드 순자산은 한 달 만에 1조4,000억원 늘어난 63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해외부동산 펀드의 성장 속도는 더욱 빠르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28조9,000억원으로 10년 만에 24배 커졌다.
업계는 그동안 부동산 펀드 투자 과실을 독점하던 기관투자가가 주춤하면서 개인이 빈자리를 채웠다고 진단한다. 연기금과 공제회·보험사 등 주요 기관투자가는 매년 일정한 수익을 가입자에 돌려줘야 해 확정된 수익을 선호한다. 지난 10여년간 저금리 속에 부동산 가격이 상승할 때는 안정적인 임대수익과 매각차익을 누릴 수 있었다.
최근 금리 인상과 부동산 가격 고점 우려로 변동성이 커지자 기관투자가가 손사래 치는 물건이 늘어났다. 기관이 빠져나간 투자 물건 일부가 소규모 개인 투자자에게 파는 공모펀드로 전환되고 있다. 투자 초보가 가입할 가능성이 커진 셈이다. 부동산 펀드를 판매 중인 증권사 관계자는 “기관을 대상으로 1년 넘게 팔다 안 팔린 상품을 공모형으로 바꿔 은행이나 증권사 창구에서 개인에게 파는 ‘폭탄 돌리기’가 흔하다”고 설명했다.
부동산 펀드의 투자 수익은 크게 임대수익과 매각차익으로 나뉘는데 개인은 주로 임대수익에 관심을 보인다. 도심 대형 건물에 탄탄한 임차인이 확정돼 6% 이상 일정한 임대료가 보장된다는 설명에 크게 매력을 느낀다. 업계에서는 매각차익이나 손해도 반드시 따져 보라고 조언했다. 부동산 펀드 운용사의 한 관계자는 “기관투자가는 임대수익은 당연하고 매각차익을 보고 투자해왔는데 개인에게 팔 때는 당장의 임대수익만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해외 부동산은 현지 운용사가 지분을 공동투자했거나 대출한 상품 위주로 고를 것을 추천했다. 해외 부동산 펀드는 환헤지가 안된 상품이 많으므로 환차익을 볼 수 있는 유로화 국가의 부동산이 유망하다. 최근 북유럽 도시가 상대적으로 저평가됐다며 투자 관심이 늘고 있지만 미국이나 영국 대도시에 비해 그만큼 매각이 안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 국내 부동산 펀드도 기관투자가가 함께 투자했거나 판매하는 증권사가 자기자본으로 투자한 상품에 가입하는 게 비교적 안전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임세원기자 why@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