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는 우리 경제의 버팀목이다. 물량공세의 중국, 종주국인 미국, 먼저 산업으로 키워낸 일본을 제치고 피라미드의 꼭대기에 서 있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의 글로벌 점유율도 D램은 74.7%(지난해 4·4분기 기준), 낸드플래시는 49.1%다.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를 넘겼다. 이런 반도체가 암초를 만났다. 외신을 통해 중국이 한국산 반도체 수입을 줄이고 미국산을 쓰겠다고 미국에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지난해 중국의 한국산 메모리반도체 수입 규모는 463억달러로 전체의 52.3%에 이른다. 한화로는 50조원이다.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칩 수요 증가로 51.3%나 늘었다. 반면 미국은 지난해 6억4,000만달러어치의 반도체를 중국에 팔았다. 우리의 1.3%에 불과하다. 산술적으로 중국이 우리 제품의 5%만 미국산으로 대체해도 2조5,000억원, 10%면 5조원의 수출액이 허공으로 사라지는 셈이다.
하지만 업계는 여파가 제한적이라는 입장이다. 현 시장이 뚜렷한 공급자 우위라는 게 큰 이유다. 미국 업체 마이크론의 경우 물량을 더 받고 싶어도 설비부족으로 주문이 어렵다. 생산까지 2~3년은 걸리는 투자를 당장 하기도 애매하다. 업계의 한 임원은 “1~2년 뒤 공급초과 시장이 와야 마이크론에 물량이 갈 여지가 생기는데 그때도 우리가 가격 결정권을 쥐고 있어 쉽지 않다”고 짚었다. 한국무역협회 통상지원단의 제현정 박사는 “미국 정부가 무관세에 반덤핑 적용도 되지 않는 반도체마저 업계의 민원을 받아 움직이는 것 자체가 문제”라며 “기업 입장에서 대응 카드가 없다”고 말했다.
이날 미국 정부는 중국 정부가 반도체 기업에 과도한 지원을 한다는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했다. 반도체가 통상 갈등의 새 전쟁터로 비화할 소지가 다분하다는 의미다. /이상훈기자 shle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