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액이 미미한데다 형사처벌 수위마저 낮다 보니 기술탈취 범죄는 지난 2012년 448건에서 2016년 528건으로 17.9%나 늘었다. 중소기업의 평균 피해액은 13억1,000만원에 달한다.
문재인 정부가 ‘혁신성장’을 핵심 경제정책으로 내세우고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중소벤처기업의 성장을 가로막는 기술탈취에 대한 근본적인 해법이 나와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문겸 숭실대 중소기업대학원장은 “기술탈취 관행이 개선되지 않으면 기술혁신을 주도하는 벤처기업의 성장기회가 박탈될 수밖에 없다”며 “기술탈취는 단순히 대·중소기업 관계의 정상화를 넘어 벤처생태계 활성화를 통해 대한민국이 혁신성장을 할 수 있느냐를 가늠하는 중요한 잣대”라고 강조했다.
/정민정기자 jminj@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