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육성을 통해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출범한 코스닥벤처펀드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당초 펀드에 몰린 투자금을 코스닥 시장에 풀어 벤처기업들을 돕는다는 취지였지만 사모펀드 위주로 자금이 몰리고 구주식보다는 전환사채(CB)나 신주인수권부사채(BW) 같은 메자닌 중심 투자가 이뤄지면서 코스닥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4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공모펀드를 기준으로 코스닥 벤처펀드의 최근 3개월 동안 수익률은 -2.21%에 불과하다. 펀드 설정액도 최근 3개월 간 6억원, 1개월 동안은 167억원이 순유출되는 등 출시 초기의 인기가 이미 꺾인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현재 공모펀드 설정액은 7,556억원으로 전체 코스닥벤처펀드 설정액(약 3조원)의 25% 수준이다. 사모펀드 설정액은 약 2조2,000억원이다.
전문가들은 ‘사모펀드 위주의 성장’ 때문에 코스닥 시장 활성화라는 본래 취지에도 맞지 않다고 지적하고 있다. 세제혜택을 받기 위해 담아야 하는 신주 중 15% 이상을 벤처기업이 신규 발행한 CB나 BW를 담게 한 정책이 이에 특화돼 있는 사모펀드로 돈이 몰리는 결과를 낳았고 이는 구주 대신 메자닌 중심 투자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기업들이 불필요하게 CB를 발행하는 등 메자닌 시장만 과열되며 본래 취지에 부합하지 못했다는 설명이다. 자본시장연구원의 한 선임연구위원은 “CB 필요성이 없는 기업도 CB를 발행해 펀드에 담는 행위들이 근본적인 문제”라며 “펀드로 돈은 계속 들어가는데 투자할 곳이 없다 보니 공모가 산정과 메자닌 발행이 정상적으로 이뤄질 리 없다”고 지적했다. 한 자산운용사 고위 관계자는 “코스닥벤처펀드가 출시되는 시점 자체가 고점이었다”며 “정부 정책을 믿고 투자한 이들을 위해 보완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금융당국은 코스닥 활성화 정책의 보완책을 검토하고 있다. 당장 획기적인 혜택 등은 기대하기 어렵겠지만 최소한 정부의 의지와 방향을 드러내는 시장 친화적인 보완책이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증시정책은 결국 산업정책과 연결될 수밖에 없다”며 “코스닥에 진입하는 기업들이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찾아내고 키울 수 있으려면 규제 완화가 필요하고 그래야 기업들의 성장성을 보고 투자하려는 자금들이 증시로 들어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주희·권용민기자 ginger@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