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상가 등 부동산 투자를 위한 비은행권 대출이 1년 새 38%나 급증했다. 경기 하강국면에서 집값이 떨어지거나 빈 사무실이 늘면 금융시스템 불안을 키울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4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에 따르면 지난해 3·4분기 부동산업 대출 규모는 전년동기대비 16.7% 증가한 224조9,000억원으로 전산업 대출 증가율(6.8%)을 두 배 이상 웃돌았다. 특히 시중 은행보다 대출금리가 0.61~4.39%포인트 높은 상호저축은행이나 상호금융 등 비은행예금취금기관 대출은 같은 기간 37.8% 폭증한 45조5,000억원에 달했다. 부동산업 대출은 1,50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그러나 재테크를 위해 상가에 투자하거나 주택 임대사업자로 등록한 경우가 상당 부분 해당 돼 가계부채와 성격은 비슷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문제는 지난달 주택가격전망 소비자동향지수(CSI)가 22개월만에 가장 낮고, 이달 제조업 업황전망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27개월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부동산 투자에 경고등이 들어왔다는 점이다. 원리금 부담이 큰 비은행 대출로 주택이나 상가를 샀는데 경기 하강 국면에 임차인을 못 찾거나 자산가치가 하락한 경우 금융 위험이 자칫 커질 수 있다는 얘기다. 한은의 한 관계자는 “최근 2~3년간 금리대비 수익이 높은 상업용 부동산 분양도 늘고 대출규모도 커졌다”며 “금융안정에 불안 요인인 만큼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임진혁기자 liberal@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