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반도체 시장이 연착륙할 수 있을까. 최근 발표된 삼성전자의 지난해 4·4분기 어닝쇼크로 반도체 시장 전반에 먹구름이 번지고 있는 가운데 올 한 해도 전년 대비 소폭 성장이 가능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14일 글로벌 정보기술(IT) 전문 시장조사 업체인 가트너는 최근 보고서에서 올해 세계 반도체 시장 매출이 총 4,890억달러(약 545조원)로 지난해(4,770억달러)보다 2.6%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이런 성장률은 지난 2017년 21.6%, 지난해 13.4%와 비교하면 급격한 둔화에 해당된다. 하지만 역성장을 피했다는 점에서 최근 커지고 있는 비관론과는 거리가 있다는 분석이다. 가트너는 특히 내년 매출로 올해보다 8.1% 성장한 5,280만달러를 예상했다. 상승 국면 전환이 가능하다고 본 것이다. 오는 2021년 성장률은 -1.8%, 2022년은 3.8% 등으로 주춤할 것으로 예측했지만 시장에서 우려하는 경착륙은 없다는 데 방점이 찍혔다.
밥 존슨 가트너 애널리스트는 “앞으로 시장이 다소 불안하겠지만 중장기 전망은 여전히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D램 시장의 경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미국 마이크론 등의 ‘과점 구조’라 수요 업체들이 높은 가격을 지불할 수밖에 없다”며 “자동차와 스토리지용 수요 비중이 확대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시장조사 업체 VLSI리서치도 올해 반도체 시장 매출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던 지난해보다는 1% 줄겠지만 내년에는 다시 7% 증가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했다. 링스컨설팅도 2022년까지 시장 성장률이 6.9%에 달할 것으로 봤다.
하지만 반도체 업계는 여전히 조심스럽다. 올해 이익률이 대거 하락할 것이라는 점에는 이견이 없는 편이다. 다만 절대 규모만 놓고 보면 불황으로 치부할 수는 없다는 정도다. 안기현 반도체산업협회 상무는 “메모리 가격의 내림세가 충분하다 판단되면 기업들의 데이터센터 투자 등 대기 중인 수요가 붙을 것”이라며 “올해 반도체 매출은 보합세가 가능하다”고 짚었다. 그는 그러나 “문제는 순이익인데 메모리 판가가 하락하는 만큼 지난해 수준(50%)보다 낮은 30%대의 이익률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업계의 다른 한 관계자도 “올 하반기 5세대(5G) 이동통신, 인공지능(AI) 등에서 투자 수요가 살아날 것으로 보여 연착륙이 가능할 것”이라면서도 “글로벌 경기침체가 심화되고 기술격차를 좁히고 있는 중국의 메모리 양산이 현실화될 경우 회복 시점이 더 늦춰질 수 있다”고 봤다.
/이상훈기자 shle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