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정처는 이날 ‘2019 경제전망 보고서’를 통해 미중 무역분쟁과 브렉시트(Brexit·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등 대외 여건이 악화하며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등에 따라 올해 성장률 전망을 2.5%로 제시했다. 이는 정부(2.6∼2.7%), 한국은행(2.6%), 국제통화기금(IMF·2.6%), 경제협력개발기구(OECD·2.6%)보다도 낮은 전망치다.
예정처는 올해 상품 수출(통관 기준)이 1.2% 감소할 것으로 봤다. 작년 10월 전망 때 2.4% 늘어나리라고 봤지만, 아예 마이너스 전환으로 수정했다. 수출 물량을 따지는 실질 총수출 증가율 전망치도 3.2%에서 2.9%로 하향 조정했다. 반도체 가격 하락 폭이 예상보다 크다는 판단이다.
[주요기관별 경제성장률 전망]
정부 | 2.6~2.7% |
한국은행 | 2.6% |
IMF | 2.6% |
OECD | 2.6% |
국회예산정책처 | 2.5% |
취업자 증가폭도 전년 대비 20여만명에서 12만명으로 낮췄다. 정부의 일자리 정책에 따른 공공부문 일자리 확충 효과가 나겠지만 내수 부진으로 민간의 일자리 창출 능력은 약화할 것이란 전망에서다.
예정처 관계자는 “한국 경제는 올 상반기 조정 과정을 거친 뒤 하반기에는 반도체 가격, 대외 경제 여건 등이 개선될 것이라고 봤다”면서도 “대외 리스크 요인 개선이 지연되거나 추가로 나빠지면 성장률이 2.5%를 하회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송종호기자 joist1894@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