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국내 금융권의 가계 및 개인사업자(자영업)대출 연체율이 동시에 상승하면서 실물경기의 부진이 금융권 부실로 전이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우리 경제의 가장 취약한 고리인 자영업자 등 취약 차주들이 집중된 제2금융권의 연체율 상승세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나 금융당국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손병두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은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가계·개인사업자대출 건전성 점검회의’에서 “상호금융과 여전업권의 대출 연체율이 상대적으로 늘면서 올 3월 말 기준 가계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말(0.75%)보다 다소 상승한 0.84%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손 처장은 “금융사들이 지난 수년간 자영업대출을 가파른 속도로 늘리는 과정에서 상환 능력 심사가 느슨했고 지역 경기 부진으로 지방의 은행과 저축은행·상호금융 등이 취급한 자영업대출 연체가 늘면서 전체적인 연체율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고 지적했다. 손 처장의 이 같은 발언은 금융당국도 최근 지방 경기 침체와 자영업 부실 등 실물경기 부진이 금융 시스템을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를 인지하고 있으며 필요시 추가적인 대책을 내놓을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이날 금융위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금융권의 자영업대출은 지역 경기가 어려운 곳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다. 3월 말 기준 지방은행의 자영업대출 연체율은 0.69%로 전년 동기 대비 0.11%포인트 올랐다. 저축은행도 수도권 소재 저축은행의 연체율이 3.85%인 반면 지방 소재 저축은행은 7.75%에 이른다. 상호금융조합도 수도권은 1.29%, 지방이 2.40%로 지방 소재 상호금융에서 취급한 자영업대출의 연체율이 더 높았다. 가계대출의 경우 상호금융(1.57%), 저축은행(4.56%), 여전사(3.15%) 등 2금융권의 연체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금융당국은 실물위기가 금융권 부실로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대출 취급 시 상환 능력에 기반한 여신심사 관행이 이뤄질 수 있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아울러 취약·연체 차주에 대한 지원 및 채무조정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금융연구원 가계부채연구센터를 중심으로 가계대출과 자영업대출의 세부 유형별 취약 요인과 상호연계성, 위험 전이 연계고리 등을 분석하는 작업도 본격적으로 착수할 예정이다. 손 처장은 “가계대출과 자영업대출의 상관관계가 강해 예기치 못한 요인으로 금융사의 건전성이 일시에 악화될 수 있다”며 “시장으로부터의 위험신호를 사전에 포착하고 선제적인 대비를 통해 금융 안전성을 유지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서민우기자 ingaghi@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