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수출이 얼마나 되는지 아세요?” 얼마 전 만난 한 식품업계 관계자가 자조 섞인 질문을 던졌다.
경기 둔화, 출산율 저하로 인한 인구 감소로 미래 시장의 크기마저 점차 줄어드는 위기 속에서도 식품업계가 힘겹게 해외시장 활로 개척에 나서고 있다는 말과 함께였다. 그러면서 그는 “요새 다른 것 수출은 잘 안 되는데 식품 수출은 잘된다. 정부의 지원만 더 뒷받침된다면 식품 수출 규모는 더 늘어날 수 있다”고 토로했다. 농수산물과 과자·라면 등 식품을 수출해봤자 얼마나 되겠나 싶지만 올 7월 기준 농식품 수출액은 7억400만달러로, 우리가 세계 1등이라는 이차전지(6억3,200만달러)와 가전(5억2,000만달러)보다도 많다. 지난해 12월부터 수출이 내리막길을 걷는 상황에서도 농식품 수출은 20대 주요 수출품목 중 거의 유일하게 ‘플러스’ 행진을 기록하며 수출 효자로 우뚝 선 상태다.
그런데도 농식품을 대하는 예산 당국의 태도가 아직도 밋밋하다. 428조원이던 국가 예산이 2020년 513조원으로 20% 가까이 늘어났지만 식품 수출 관련 예산은 제자리걸음이기 때문이다. 실제 2019년 농식품 수출지원 예산은 2018년 대비 감소했고 2020년은 그나마 2019년 대비 4.5% 증가했다. 이를 근거로 정부에서는 “내년 농식품 수출 관련 예산이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했다”며 자랑스럽게 말하지만 사실상 2년 전인 2018년 수준을 회복했을 뿐이다.
새로 취임한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취임 일성으로 식품산업에 대한 지원 의지를 드러내 그나마 다행이지만 이 또한 두고 볼 일이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전 산업을 통해 블루오션 지도를 그리라고 하면 아마 식품업계가 가장 넓은 곳을 파랗게 색칠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기업만으로 한계가 있다. 국가 차원의 식품산업 IR 행사 등을 통해 포장·가공 등 우리의 높은 기술력이 담긴 HMR 제품을 홍보하고, 할랄 등 미개척 시장을 지원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manis@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