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독물질인 ‘불화수소(공식명은 플루오르화수소)’를 취급하는 산업단지 6km 반경에 있는 초·중·고교가 누출 사고를 대비한 방독면은 제대로 확보해 놓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화수소는 직접 흡입시 사망할 수 있어 유독물질로 분류되지만 이를 취급하는 산단 주변의 초·중·고교의 방독면 보급률은 평균 3%가 채 안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일 곽대훈 자유한국당 의원실에 따르면 불화수소 취급 업체가 입주한 경기 반월, 인천 남동, 경북 구미 등 3개 산업단지 반경 6km 내 초중고교의 방독면 보급률을 자체 파악한 결과 평균 2%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반월의 경우 32개 학교 가운데 방독면을 비치한 학교는 10곳에 불과했다. 학생 수 대비 방독면 수는 3.8%에 그쳤다. 11개 초중고교가 위치한 경북 구미의 경우 방독면을 비치한 학교는 6곳이지만, 학생 수 대비 방독면 비치율은 4.2%에 불과했다. 심지어 인천 남동의 경우 7개 학교 모두 방독면이 비치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개 산단 주변 초중고교의 방독면 보급률은 평균 2.7%에 그친 셈이다.
반면 산단 사고는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 2012년부터 올해 6월까지 8년간 산단 사고는 총 225건이며 이 사고로 110명이 목숨을 잃었다. 산단 사고를 보면 14.6%는 가스·화학물질누출 사고였다. 지난 2012년 9월 구미 불산 누출사고로 5명이 사망했다. 같은 6월 여수, 2년 뒤 남동에서도 이런 사고로 인해 67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불화수소는 미국 환경청 기준으로 2ppm 농도 아래에서 10분 이상 노출되면 외부 자극에 무감각해 지고, 50ppm에서 30분 이상 노출되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산단 반경 6km는 ‘화학사고 대응정보시스템(CARIS·카리스)’ 시뮬레이션을 통해 불화수소 누출 사고 시 농도 2ppm이 미칠 수 있는 거리다. 하지만 산업단지를 관리해야 할 한국산업단지공단은 산단내 입주기업이 어떤 유해 물질을 취급하는지 정확한 내용 파악도 안돼 있고, 이렇다 보니 안전관리 지원 예산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화학물질 사고는 인근 학교와 주민들에게 피해를 입힐 수 있는 만큼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곽대훈 의원은 본지와 통화에서 “카리스를 구동해 본 결과 불화수소 누출시10분 이상 노출땐 이상 증상을 보일 수 있는 농도 2ppm이 미칠 수 있는 거리가 6.2km로 나왔다”며 “불화수소 취급 산단의 반경 최소 6km 이내에 위치한 초중고교는 누출사고 등에 대비해 예방교육은 물론 방독면 구비 등과 같은 자세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양종곤기자 ggm11@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