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육안으로 보이지 않지만 스마트폰이나 편광판, 물을 대면 보이는 초박막 편광 컬러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 소재도 유연하고 넓은 면적에 다양한 색을 구현할 수 있어 와인병 등 멋진 디자인을 요하는 제품에 유용하고 광학 정보 보안 시스템의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송영민 광주과학기술원(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무수히 많은 나노 기둥을 비스듬히 증착시키는 빗각증착법으로 특정 방향의 빛(편광)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초박막 편광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고 15일 한국연구재단이 밝혔다.
이를 통해 기존 편광 디스플레이가 정교한 나노 기둥 정렬이 어려워 수 마이크로미터(㎛·1㎛는 100만분의1m) 면적만 만들 수 있고 소재가 딱딱해 다양한 표면에 부착하기가 어려운 단점을 극복했다. 와인병에 QR코드라든지 눈에 보이는 많은 정보를 담지 않고 감각적으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고주환 광주과기원 석사과정과 유영진 박사과정 연구원이 공동1저자인 연구팀은 빗각증착법으로 만든 자기 정렬형 나노 기둥을 유연한 기판 위에 ㎝ 수준의 면적으로 넓게 증착하고 다양한 색을 내는 데 성공했다. 여러 용도에 따라 패턴을 감추고 드러낼 수 있는 감도를 조절하기 위해 색 변화량의 범위도 설계했다. 수분에 반응하도록 설계해 표면에 물이 닿았을 때 감춰진 패턴을 드러내는 기능도 구현했다.
송 교수는 “간단한 공정과 소량의 재료로 아주 얇은 두께를 가진 편광 디스플레이를 구현했다”며 “다양한 색을 넓은 면적에 구현할 수 있고 소재 성질이 유연해 광학 정보 보안 시스템의 발전에도 이바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에 최근 게재됐다. /고광본선임기자 kbgo@sedaily.com
◇연구팀=고주환 석사과정(공동 제1저자, 광주과학기술원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유영진 박사과정(공동 제1저자, 광주과학기술원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김영재 박사과정(공동저자, 광주과학기술원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이상신 교수(공동저자, 광운대 전자공학부), 송영민 교수(교신저자, 광주과학기술원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