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부터 중국에 방문한 적이 없는 사람도 의사의 판단 아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진단 검사를 받을 수 있게 됐지만, 감염학 전문가들은 감기와 같은 증상을 가진 다수의 환자가 선별진료소에서 한정된 공간에 몰릴 경우 오히려 감염의 위험이 더 커질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최원석 고대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6일 열린 대한감염학회 기자간담회에서 “환자들이 검사를 원하며 선별진료소에 몰리고, 이로 인해 발견해야 할 환자는 놓치거나 진단이 늦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손장욱 고대안암병원 감염내과 교수도 이 자리에서 “의사의 재량권이 있다는 부분은 굉장히 긍정적이지만, 과잉진료가 될 수밖에 없다”면서 “누구나 다 검사해서, (진단) 현장이 마비될 수 있다”고 같은 의견을 냈다.
지금껏 신종 코로나 감염 여부를 진단하는 검사는 전국 18개 보건환경연구원에서만 가능했지만, 정부는 7일부터 50여개 민간 병원에도 이 검사를 할 수 있게 지침을 개정했다. 방역당국은 이들 의료기관에서 하루에 2천여건 정도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경증 환자들이 병원을 찾게 될 경우 의료기관이 되레 바이러스 전파의 진원지가 될 수 있다는 지적도 하고 있다.
관련기사
손 교수는 “텐트, 음압격리실이 하나씩 있는 등 대부분 선별진료소 (시설이) 굉장히 열악하다. 여기서 전파될 가능성도 높다”며 “사스, 신종 플루, 메르스를 겪고 이번에 (신종 코로나를) 또 겪고 있지만, 공공 의료체계는 바뀐 게 하나도 없다”고 마랬다.
김성란 대한감염관리간호사회장(고대구로병원 감염관리팀장)도 “감염자인 사람과 아닌 사람이 서로 (진료소에서) 접촉하며 감염되는 게 아닐까 불안감이 크다”고 말했다.
이번 바이러스 감염증의 초기 증상이 감기와 구분이 안 될 정도로 미미한 것도 진료소 내 감염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꼽힌다.
백경란 대한감염학회 이사장(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 교수)은 “신종코로나 감염은 감기랑 감별이 어려운데, 감기가 유행하는 겨울철이라 감별진단이 더 어렵다”고 밝혔다.
그는 또 “(감염 여부가) 궁금해서 왔는데 진료소에서 진짜 환자를 만나 감염될 위험이 있다”면서 “경증이라면, ‘타이레놀’ 먹고 지낼 수 있는 상황이라면 바로 진료소를 찾지 말고 자가 격리하며 지내다가 2~3일 뒤에도 계속 나빠지면 그때 검사를 받는 게 적절하다는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박홍용기자 prodigy@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