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의 허리가 무너지고 있다. 40대(40∼49세) 취업 시장이 도매·소매업, 제조업 등을 중심으로 얼어붙으며 지난 1월 9만명의 취업자가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역대 최대 수준으로 늘어난 60대 이상 일자리는 단순노무 종사자나 임시 근로자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16일 통계청이 공개한 경제활동인구 마이크로데이터를 산업별로 분석한 결과, 지난 1월 40대 일자리는 도매 및 소매업, 제조업 순으로 감소폭이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40대 취업자는 도매 및 소매업에서 4만8,000명, 제조업에서 4만4,000명 각각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1월 전체 취업자는 1년 전보다 56만8,000명 증가하며 5년 5개월 만에 가장 많이 증가했지만, 40대 취업자는 8만4,000명 감소하며 전 연령대 중 유일한 마이너스(-)를 나타냈다.
특히 1년 전보다 8,000명 증가하며 감소 행진을 끝낸 제조업 취업 여건은 40대에서만큼은 녹록지 않았다. 제조업 취업자는 60대 이상 3만7,000명, 50대 1만6,000명 증가하는 동안 40대에서는 오히려 4만4,000명 감소했다.
연령대별 취업자를 종사상 지위로 비교해 보면 40대 일자리는 자영업자를 중심으로도 줄어들었다. 지난 1월 40대 자영업자는 1년 전보다 11만9,000명 감소했다.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9만3,000명,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2만6,000명 각각 줄었다.
이러한 40대 자영업자 감소폭은 전 연령대 중에서 가장 컸다. 50대는 6만3,000명 감소했을 뿐 나머지 연령대에서는 모두 자영업자가 늘었다. 특히 60대 이상에서는 자영업자가 10만5,000명 늘어났다.
정부는 40대 일자리 난을 해소하기 위해 작년 말 ‘40대 일자리 태스크포스(TF)’를 출범했다. 앞서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역량 강화, 창업 지원 등의 대책을 구체화해 3월 말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반면 60세 이상 취업자는 40대와 달리 크게 늘어나면서 최근 고용 지표가 개선되고 있다. 지난 1월 60세 이상 취업자는 1년 전보다 50만7,000명 늘어나면서 1982년 7월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고용지표는 개선됐으나 고용의 질이나 생산성 측면에서 보면 상황이 좋아졌다고 보기는 어렵다. 60세 이상 취업자를 마이크로데이터를 이용해 산업별로 분석한 결과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12만7,000명)과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6만5,000명)에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 두 분야는 정부가 재정을 풀고 있는 일자리 사업의 효과가 집중되는 분야다. 모두 업무가 간단하고 요구되는 기술 수준이 낮은 ‘단순노무 종사자’로 분류된다.
60세 이상을 종사상 지위별로 분석해 봐도 역시 ‘임시근로자’(계약기간 1개월 이상 1년 미만)의 증가가 전체 취업자 증가를 이끌었다. 임시근로자는 보건복지 분야에서 9만2,000명, 공공행정 분야에서 5만4,000명 각각 늘어났다. /백주연기자 nice89@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