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삼성자동차 영업부문 임직원들이 노조에 조속한 임금협상 타결을 촉구하고 민주노총 가입 추진 중단을 요구하고 나섰다.
최근 노조 일부 대의원들도 같은 요구를 한 데 이어 영업부문 직원들까지 가세해 노조의 강경전략에 제동을 건 것이다. 노조 집행부 등 일부 강성세력을 제외한 대다수 구성원들이 임금협상 타결을 원하고 민주노총 가입을 반대하고 있는 만큼 12일부터 재개되는 노사 간 협상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르노삼성 영업부문 사원대표위원회는 11일 성명서를 통해 “회사와 노동조합은 2019년 임금협상을 조속히 끝내라”고 주문했다. 특히 노조 집행부의 임금협상 전략을 강하게 비판했다. 영업부문 사원대표위원회는 “무노동 무임금에 대한 불만이 있었다면 파업은 왜 했는가”라며 “영업에 막대한 타격을 준 손실은 따져 봤는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결국 임금협상을 볼모로 체제전환 하려는 속내인가”라며 “(노조의)협상 태도로 결과물에 악영향을 끼친다면 절대 좌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노사가 합의한 ‘무노동 무임금 원칙’을 뒤엎으면서 협상 타결을 미루고 현장 정서와 거리가 먼 민주노총 가입카드까지 꺼내 든 노조 집행부를 정면 비판한 것이다.
앞서 르노삼성 노조 대의원 9명은 지난 10일 공동성명서를 통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조속한 임금협상 마무리이며 부산공장 22개의 지역구 중 다수의 대의원들이 민주노총 가입에 동의한 바 없다”며 “현장 정서와 동떨어진 체제전환을 추진한다면 그 결과에 대해 집행부가 책임져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르노삼성 노조는 기본급 8% 인상 등을 요구하며 지난해 말부터 전면파업을 벌이는 등 사측과 갈등을 빚고 있다. 하지만 조합원들의 파업 참여율이 20%대까지 떨어질 정도로 현장의 지지를 얻지 못했다. 사측이 올 들어 임금인상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수당을 신설하는 안을 제시하면서 협상이 급물살을 탔다. 하지만 노조가 지난해 노사가 맺었던 ‘무노동 무임금 원칙’을 깨고 느닷없이 파업 참여자 임금보전을 요구하면서 협상이 다시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임금협상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르노삼성은 올 초부터 닛산 로그 등의 생산을 중단해 ‘생산절벽’에 내몰리고 있다. 르노 본사에서는 “임금협상을 마무리해야 수출물량 등을 추가 배정하겠다”고 엄포를 놓은 상태다. 다만 최근 출시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XM3’가 17일 만에 계약 대수가 8,500대를 넘어설 정도로 인기를 끌면서 위기탈출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강성노조 세력을 제외한 르노삼성 모든 구성원 사이에서 소중한 일터를 지키기 위해 XM3 생산과 판매에 힘을 모아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며 “가뜩이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때문에 자동차 시장이 위축된 상황에서 노사가 힘을 합치지 않으면 생존이 어려울 수 있다는 상황을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민형기자 kmh204@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