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3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고용충격에 대비해 “앞으로 2주간 경제 중대본회의에서 취약계층 일자리 지원을 위해 55만개+α 직접일자리 신속 공급방안 등을 집중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장관회의(녹실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고용시장 충격으로 국민 여러분께서 겪고 있는 민생의 어려움을 조속히 덜어드리도록 모든 정책역량을 총동원, 진력할 방침”이라며 “제조업 등 기간산업 고용 충격이 확산되지 않도록 기간산업 안정기금 등을 통해 선제적으로 대응함과 동시에, 추가적인 고용시장 안정방안도 지속 강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현재 준비 중인 3차 추가경정예산안의 조속한 국회 제출과 국회확정 후 신속한 집행 준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지난 제5차 비상경제회의에서 소상공인·기업 고용유지 지원, 근로자 생활안정 대책, 긴급 일자리 창출, 실업자 지원 등 고용안정을 위한 총 10조원 규모의 고용안정패키지를 마련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4월 고용동향을 토대로 고용 충격 확산 추이를 점검하는 한편, 향후 대응방향을 논의했다.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 구윤철 국무조정실장, 강신욱 통계청장, 이호승 경제수석, 황덕순 일자리수석 등 참석자들은 3월에 이어 취업자가 두 달 연속 감소하고, 감소폭이 크게 확대된 현 상황을 매우 엄중히 인식했다. 특히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임시·일용직,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고용시장의 어려움에 적극 대처해야 한다는 데 한 목소리를 냈다.
통계청 고용동향에 따르면 4월 고용시장은 코로나19 영향이 집중된 대면 서비스업 분야가 더욱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수출 부진 등으로 제조업 등에도 충격이 점차 가시화되면서 3월 보다 크게 둔화됐다. 전체 취업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47만6,000명 감소하면서 지난 3월(-19만5,000명)보다 감소폭이 크게 확대됐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고용상태가 불안정한 임시·일용직과 자영업을 중심으로 크게 둔화되었으며, 업종별로는 숙박음식·도소매·교육 등 대면 서비스업 둔화가 지속되는 가운데 제조업·건설업에도 부정적 영향이 가시화됐다. 일시휴직자는 113만명 증가한 148만5,000명을 기록했는데, 역대 최대규모였던 3월(160만7,000명)보다는 소폭 감소했다. 홍 부총리는 “대규모 일시휴직자 증가는 우리 고용안전망이 작동하고 있다는 의미”라면서도 “고용부진 지속 시 실업자 또는 비경활인구 확대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세종=황정원기자 garden@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