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선암에 걸린 견공의 유전자변이 지도가 나왔다. 인간 암 유전변이와의 유사성도 일부 확인돼 견공 치료는 물론이고 인간의 암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대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한국연구재단은 김상우(교신저자) 연세대 의과대학 교수를 주축으로 한 국내 학계 공동연구팀이 견공의 암 유전자변이 패턴을 파악하는 데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견공의 유전정보는 이미 15년 전 해독되었지만,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전체 유전체를 대상으로 유전자변이 지도를 만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공동연구팀은 연세대-가톨릭 의대, 건국대 수의대, 광주과학기술원(GIST)의 전문가들로 구성됐다. 공동연구팀은 서정향(공동저자) 건국대 교수팀이 확보한 국내 유선암 발병견 191마리 및 해당 종양시료의 종양 유전체 정보를 읽어냈다. 이를 바탕으로 김 교수팀과 김태민(제 1저자) 가톨릭의대 교수팀, 남호정(공동저자) GIST교수팀이 유전변이와 유전자 발현을 분석해 유전자 변이지도를 완성했다.
공동연구팀은 유선암에 걸린 견공의 유전자 변이지도를 인간 유방암에서 변이가 나타나는 주요 유전자(PIK3CA, PTEN, TP53, BRCA)와 비교해 같은 유전자들 내 비슷한 위치에서 비슷한 빈도로 변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아울러 같은 유선암이라도 유전자 발현의 정도에 따라 예후가 더 안 좋은 아형(subtype)이 존재한다는 것을 규명했다. 이는 사람 종양에서 알려진 아형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사람과 견공 사이에 핵심이 되는 유전변이와 종양의 아형이 유지됨이 확인돼 인간의 암에 대한 치료방식을 견공 치료에도 시도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가 마련됐다고 연구재단은 설명했다. 아울러 인간 암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평가됐다. 사람과 같은 환경에서 생활한 반려견에서 자연 발생한 암을 분석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바이오의료기술개발 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연구의 성과는 17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 7월 17일 게재됐다. /민병권기자 newsroo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