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돈의 물꼬를 부동산에서 생산적인 부문으로 돌리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 가운데 이의 핵심 역할을 하는 기술금융을 기업은행이 가장 활발하게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은행연합회의 ‘기술금융 종합상황판’에 따르면 지난 7월 현재 기술신용대출 잔액(누적 기준)이 가장 많은 곳은 기업은행으로 75조1,795억원이었다. 기술신용대출은 부동산 담보대출이 아닌, 기업의 기술력을 평가해 이를 근거로 돈을 빌려주는 것이다. 기은 다음은 국민은행으로 36조9,780억원이었고 신한은행이 32조7,130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우리은행 31조5,031억원, 하나은행 28조5,865억원 순이었다.
늘어난 폭을 보면 기은은 지난해 12월 63조2,851억원에서 7개월간 11조8,944억원 불어났다. 시중·특수·지방은행 중 증가 폭이 제일 컸다. 다음은 국민은행으로 6조5,199억원 늘었고 신한이 6조4,669억원으로 바짝 뒤를 쫓았다. 같은 기간 우리은행은 4조7,913억원, 하나은행은 4조2,768억원 늘었다. 취급 건수로 봐도 7월 현재 기은이 17만5,443건으로 가장 많았고 국민이 10만9,686건, 신한이 9만4,348건, 하나가 7만6,745건, 우리는 6만9,044건이었다.
기은의 기술금융 취급이 빠르게 늘어난 것은 윤종원 행장의 주문이 크게 작용했다. 기은의 기술신용대출 잔액은 윤 행장 취임 직후인 2월 65조5,424억원에서 5개월 새 10조원 가까이(9조6,371억원) 뛰었다. 기은 관계자는 “정부의 국정기조를 잘 아는 윤 행장이 회의 때마다 담보 대출 관행에서 벗어나 장래가 있는 기업에 대출을 해줘야 한다고 강조한다”며 “기술금융, 지식재산권(IP) 담보대출을 늘리고 모험자본 투자를 적극적으로 하라는 요청을 한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관련기사
윤 행장 역시 취임사에서 “중소기업의 다양한 금융수요에 응하고 창의력을 가진 창업자들에게 자본을 충분히 공급할 것”이라며 ‘혁신금융’ 최일선에 나설 것을 예고한 바 있다.
/이태규기자 classic@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