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이 “저탄소·친환경 전환 과정에서 그 속도를 따라가기 힘든 취약 업종과 기업군 등을 세심하게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차관은 11일 서울 HJ비즈니스센터에서 한국판 뉴딜 자문단 그린뉴딜 분과 제5차 회의를 열고 “글로벌 자본시장과 산업구조의 저탄소·친환경 개편은 1년 전 우리의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속도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며 “지난해 하반기부터 본격 추진된 그린뉴딜의 성과를 확산시키고 우리 경제를 저탄소·친환경 구조로 성공적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극복해야 할 과제들도 많다”고 말했다.
특히 이 차관은 “자동차·철강·석유화학 등 우리나라의 고탄소 산업구조는 녹색전환에 더 많은 노력과 비용을 발생시킬 것”이라며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대기업과 달리 수많은 중소·중견 기업이 재정적·기술적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현장의 신재생에너지 계통 부족이나 수소충전소 입지 선정 문제 등으로 일부 사업은 속도감 있는 추진이 어렵게 되기도 한다”고 했다.
이 차관은 “따라서 그린뉴딜은 현장의 요구를 반영하고 급변하는 대내외 경제·환경 여건에 대응해 끊임없이 보완될 것”이라며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와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상향에 따라 목표와 이행시점을 명확히 하고 녹색인프라, 그린에너지 등 주요사업 투자가 이에 부합하도록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탄소중립 경제로 전환이 이뤄지도록 선도적 연구개발(R&D) 등을 지원하기 위한 기후대응기금을 내년 신설·운영할 계획”이라며 “전환 과정에서 소외된 계층 및 지역, 전환 속도를 따라가기 힘든 취약 업종·기업군 등을 세심하게 지원해 공정한 전환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세종=박효정 기자 jpark@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