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세계 최고 5세대(5G) 강국을 목표로 오는 2026년까지 1,800개의 5G 전문기업을 육성하고 5G 특화도시를 구축하는 등 관련 산업 육성 및 서비스 발굴에 나선다. 비대면 환경에서의 학습격차 해소, 국민안전 및 소상공인 보호 등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5G를 활용한 ‘스마트 스쿨’. ‘메타버스 마켓’, ‘이동형 의료서비스’ 등을 선보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5G 산업 육성 및 글로벌 시장 선도를 위해 영상회의로 열린 제5차 범부처 민관 합동 ‘5G+ 전략위원회’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5G+ 융합서비스 확산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전략에서는 △국민이 체감하는 융합서비스 활성화(새롬길) △민간의 주도적 참여 유도(나래길) △5G 융합생태계 형성을 위한 산업기반 조성(보듬길) △글로벌 리더십 주도(누리길) 등 4가지 기본 방향을 정했다.
정부는 이 같은 전략을 기반으로 5G 적용 현장은 올해 195개에서 2023년 630개, 2026년 3,200개로 늘릴 계획이다. 5G 전문기업은 올해 94개에서 2023년 330개, 2026년 1,800개까지 늘리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융합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우선 우리사회의 다양한 사회적 문제 해결에 무게중심을 두기로 했다. 이를 위해 △초실감 비대면 교육을 위한 스마트 스쿨 △산업현장의 안전사고 예방 △재난대응을 위한 이동형 의료서비스 △사각지대 없는 치안 서비스 △코로나19 피해 경감을 위한 메타버스 마켓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 또 스마트공장·자율주행차·실감콘텐츠·디지털 헬스케어·스마트시티 등 5대 핵심서비스는 분야별 후속지원을 통한 실증을 통해 성과를 창출하기로 했다.
민간 중심의 융합서비스 확산을 위해서는 한국형 5G PPP(Public Private Partnership)를 구성해 5G 확산의 구심체 역할을 맡도록 할 계획이다. 여기에 민간 투자 촉진을 위해 5G 특화망 관련 기간통신사업자의 등록 조건을 완화하는 등 관련 제도 개선도 검토한다.
이외에도 튼튼한 5G+ 생태계 조성을 위해 단말·장비·소프트웨어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지원과 글로벌 시장 선점을 목표로 비즈니스 모델 발굴, 국제 인증 등에 대한 지원을 확대한다. 5G 기술과 서비스의 실증 및 활용을 위해 5G+ 특화도시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승원 과기정통부 정보신산업정책관은 “내년에 예타를 통과하고 2023년부터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