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현재 22만 톤 수준인 국내 수소 사용량을 오는 2030년 390만 톤까지 늘리는 한편 청정수소 자급률 확대에 나선다. 또 글로벌 수소기업 30개를 육성하고 수소 관련 일자리도 5만 개 창출할 방침이다.
정부는 7일 ‘수소경제 성과 및 수소선도국가 비전’ 발표식을 열어 “글로벌 청정수소 경제를 선도해나가겠다”고 선포했다. 이날 행사에는 문재인 대통령과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비롯해 정의선 현대자동차 부회장, 최태원 SK 회장, 최정우 포스코 회장, 조현상 효성 부회장, 김동관 한화솔루션 대표 등 수소 관련 기업 대표들이 총출동했다. 이들 5개 그룹사는 2030년까지 총 43조 원을 수소경제에 투자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번 비전을 통해 수소 사용량을 2030년 390만 톤, 2050년 2,700만 톤까지 대폭 확대하고 탄소 발생이 없는 청정수소 비율은 2030년 50%에서 2050년 100%까지 높여나갈 방침이다. 탄소 배출이 없는 암모니아 기반의 추진선 및 액화수소 운반선 등을 조기에 상용화해 글로벌 수소 생태계의 한 축을 담당하는 한편 수소항만을 조성해 원활한 해외 수소 도입을 가능하게 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수소차 기술 관련 초격차를 확보하고 온실가스 다량 배출 업종인 철강·석유화학·시멘트 등에 수소를 활용해 탄소 중립까지 달성할 방침이다. 정부는 이번 비전을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에 반영해 다음 달 중 열리는 제4차 수소경제위원회에서 최종 확정할 방침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과감히 도전해 수소경제를 주도해나간다면 미래 먹거리와 새로운 일자리 창출의 블루오션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이제 정부와 기업은 ‘수소선도국가 원팀’이다. ‘팀코리아’로서 함께 수소 대한민국의 미래를 힘차게 열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다만 이번 수소비전에 발전 단가가 낮으면서도 온실가스 배출이 없는 원전을 활용한 수소생산 방식이 빠져 있어 ‘반쪽짜리 수소경제’ 방안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