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실물 경제에 위협이 될 수 있는 부동산 부문의 금융 불균형 정도가 사상 최고 수준으로 확대됐다.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 가중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등 대외 리스크가 부동산으로 인한 금융 불균형을 자극할 경우 우리 경제의 최대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한국은행의 ‘하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기준 부동산 부문의 금융취약성지수(FVI)는 100으로 관련 통계가 시작된 지난 1996년 이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FVI는 실물 경제와 자산 가격의 격차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로 0부터 최대 100까지 표시된다. .
한은은 부동산 가격이 기초 경제 여건 등에 비해 고평가돼 있을 뿐 아니라 가계대출 증가와 상당 부분 연계돼 금융 불균형을 심화시키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부동산 시장은 가격소득비율(PIR), 가격임대료비율(PRR), 차입 비용(대출금리) 등을 종합적으로 봤을 때도 장기 평균치를 크게 웃도는 상황이다.
과도한 가계부채도 금융 불균형의 위험을 높이고 있다.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민간 신용도 3분기 말 기준 219.9%로 전년 동기 대비 9.4%포인트나 상승했다. 특히 가계부채는 1,844조 9,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7% 늘어나면서 높은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가계와 기업 등 민간 부채는 3,343조 원으로 GDP의 2배에 달한다.
이정욱 한은 금융안정국장은 “금융 불균형 정도가 높은 가운데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진 데다 주요국 통화정책이 미치는 영향을 경계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경제주체의 위험 추구 성향 완화와 함께 민간 부채 증가세를 억제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