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사를 제쳐 놓고 잔뜩 사서 쟁여 놓으려 합니다.”
최근 네이버 지역 맘카페는 설 명절을 앞두고 10% 할인율로 발행되는 지역사랑상품권(지역페이) 소식에 들썩였다. ‘애물단지’였던 지역페이가 스마트폰에 익숙한 젊은 엄마들을 중심으로 큰 인기를 끌면서 온라인 ‘오픈런(매장 문이 열리면 바로 달려가 구매)’까지 일어나고 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역사랑상품권을 발행하는 지방자치단체는 지난 2018년 66곳에서 2021년 232곳으로 급증했다. 같은 기간 판매액 역시 3700억 원에서 17조 3000억 원으로 폭증했다. 주요 시도의 경우 온라인 선착순 판매가 시작되는 당일 대부분이 완판된다.
이에 지자체가 만든 지역페이 사업권을 둘러싼 경쟁도 날로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올해는 경기·인천·부산·울산·대전·세종·김포·성남 등 발행액이 큰 지자체가 일제히 기존 판매·운영 대행 계약이 종료된다. 여기에 시중은행은 물론 카드사, 빅테크 등 민간 기업들도 군침을 흘리고 있다. 사업자들은 시스템 구축비·운영비 등이 소요되지만 신규 고객을 유치하고 결제 관련 데이터를 모을 수 있어 잃는 것보다 얻는 게 더 많다는 입장이다. 한 금융사 관계자는 “당장 눈앞의 이익보다 지자체와 협력 등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지용 상명대 교수는 “본업인 지급·결제에서 충분히 노하우가 쌓인 카드사 입장에서는 그리 큰 추가 비용이 들지 않을 뿐더러 소상공인과 상생하는 이미지 형성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도는 이달 10일 지역화폐 운영 대행사 우선협상 대상자로 3년 계약 기간이 끝난 ‘코나아이’를 재선정하고 사업 세부 내용에 대한 협상을 벌이고 있다. 이번 입찰전에는 농협은행 컨소시엄, 나이스정보통신, 신한카드 컨소시엄 등이 참여했다. 부산에서도 26일부터 3년간 총 사업비 36억 원 규모의 지역화폐 운영 대행 사업자를 공모 중이다. 기존 사업자인 코나아이와 금고은행인 부산은행 간 경합이 예상된다. 인천은 2018년부터 코나아이에 수의계약을 맡겼으나 이번에는 입찰 공고를 내고 경쟁을 붙일 예정이다. 앞서 서울은 지난해 11월 신한카드와 카카오페이·티머니가 연합한 ‘신한 컨소시엄’을 판매 대행점으로 선정했다.
지자체의 상품권 발행 사업은 1990년대 후반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해 시작됐지만 강원 화천 등 일부를 제외하면 성공 사례는 드물었다. 한때 물량이 소진되지 않아 골칫거리였다가 2018년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광역자치단체장들이 너도나도 도입하면서 전성기를 맞았다. 7~10% 할인된 가격에 지자체 가맹점에서 상품과 서비스를 살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지류로 발행되던 지자체 상품권이 QR 결제 등 최첨단 금융 기술(핀테크)과 만나 선불형 카드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진화하면서 결제 편의성이 높아지고 잔액 관리가 쉬워진 것도 인기몰이에 한몫했다.
다만 지자체 상품권의 할인 혜택은 정부나 지자체 예산으로 지원된다. 이 때문에 지자체 단체장들이 세금을 동원해 소상공인이나 지역민의 환심을 사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또 소비 자체를 늘리는 게 아니라 제한된 소비가 지역 내에만 머물면서 국가 전체의 후생은 줄어든다는 분석도 있다. 상품권이 주로 소매업·음식점·학원 등에 주로 쓰이기 때문에 나머지 소상공인은 별다른 실익이 없다는 것도 문제점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