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지난달 기준금리를 연 1.25%로 만장일치 동결했지만 추가 인상이 필요하다고 보는 금통위원이 여전히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높아진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기대인플레이션에 대한 강한 경계심을 드러내면서 금리 인상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은이 15일 공개한 지난달 24일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에 따르면 이주열 총재를 제외한 금통위원 6명 중 4명이 기준금리 추가 인상 필요성을 언급했다. 당시 금통위 회의에서는 만장일치로 금리 동결을 결정했다.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 성향의 금통위원들은 지난해 8월 이후 세 차례 금리를 올린 만큼 이로 인한 파급 영향이나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인한 불확실성을 지켜보기 위해 금리 동결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한 금통위원은 “물가 상방 리스크는 더욱 증가했으며 금융불균형 상황은 여전히 주의할 수준으로 판단된다”며 “앞으로도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축소하는 방향으로 기준금리를 운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발언했다. 또 다른 금통위원 역시 “높아진 기대인플레이션 수준과 높은 유동성 증가세 지속 등은 현재 통화정책 기조가 여전히 완화적임을 시사한다”며 “지금과 같은 경기 회복 흐름이 지속된다면 추가적으로 완화 정도의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른 금통위원도 “국내총생산(GDP) 갭률이 상반기 중 플러스 전환이 기대되고 목표치를 웃도는 물가 오름세가 장기간 이어져 기대인플레이션의 상방 압력이 계속 확대되고 있다”며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에서 안정되도록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지속 축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했다. 매파 성향을 드러낸 금통위원은 “확고한 정책 의지를 시장에 커뮤니케이션함으로써 경제 주체의 기대를 안착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반면 비둘기파(통화 완화 선호) 금통위원들은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한 금통위원은 “금리 상승과 물가 상승으로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기업 생산 비용이 증가하고 가계 구매력이 약화하는 새로운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며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긴 하지만 경기를 위축시키면서까지 제압해야 할 한계 상황에 놓인 것은 아니다”고 했다.
금리 동결하자는 다른 금통위원도 “불확실한 정보로 정책적 대응을 하는 것보다 선제적으로 대응한 통화정책의 효과와 대외 불확실성이 어떻게 전개되는지 확인한 뒤 대응을 결정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이라고 생각한다”라고 이유를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