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0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회견장에서 준비해 온 원고를 읽은 뒤 30분가량 격의 없게 취재진과 질의응답을 주고받았다. 사전 약속도 없었고 질문도 제한하지 않은 채 즉석에서 일문일답하는 방식이었다. 윤 당선인은 “단상을 치울 수 없나”라고 물어본 뒤 조감도 앞에 직접 서서 대국민 프레젠테이션(PT)도 소화했다. 선거 기간에 “참모 뒤에 숨지 않겠다”고 밝혀 왔는데, 큰 현안이 있을 때 직접 설명하고 설득하려는 그의 ‘소통’ 방식을 그대로 드러냈다는 평가다.
실제 정치권에서는 이날 개최된 기자회견이 새 정부의 소통 방식을 예고하는 상징적인 장면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지난 10일 당선 이후 세 번째로 열린 회견이다. 당선인이 임기를 시작하기도 전에 주요 사안에 대해 기자회견을 연이어 하는 건 유례없는 일이다. 윤 당선인은 10일 당선 인사 기자회견에서도 문재인 대통령을 사실상 겨냥해 “국정 현안을 놓고 국민들과 진솔하게 소통하겠다. 정부 잘못은 솔직하게 고백해 국민들께 이해를 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이전 논란으로 여론이 양극화될 조짐을 보이자 본인이 직접 기자회견을 개최하는 승부수를 띄웠다는 평가다. 윤 당선인은 “대통령 집무실 이전을 서두른다는 우려를 잘 알고 있다. 그래서 직접 나서서 이해를 구하는 것”이라며 기자회견 개최 배경을 직접 밝혔다.
윤 당선인은 신속한 결단을 내린 이유로 “조선총독부부터 100년 이상 써 온 곳으로 국민께 돌려 드려야 한다는 생각은 변함이 없다”며 “근무를 시작하면 여러 바쁜 일로 이전이 안 된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번 결정이 국민과 소통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실제 윤 당선인은 기자회견 말미에 “다시 한번 국민 여러분의 이해를 구한다”고 말한 데 이어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는 과정에서도 “제가 직접 나서서 국민 여러분께 이해를 구한다”고 두 차례 더 언급하기도 했다.
그는 “청와대 공간의 폐쇄성을 벗어나 늘 국민과 소통하면서 국민의 뜻을 제대로 받들고자 (대통령실 이전을) 약속드린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이 일하는 모습과 공간을 국민께서 얼마든지 바라볼 수 있게 하는 정신적 교감 자체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집무실이 예정된 국방부 청사를 조감도에서 재차 가리키며 “지금 청와대는 춘추관(기자실)하고도 거리가 꽤 된다. 저는 이 건물 1층에 (기자실)을 배치해서 여러분께서 보안 수칙만 잘 지켜 주신다면 필요하다면 언제든지 1층에 가서 여러분들과, 또 여러분들을 통해 국민들과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소통을 하겠다”고 다짐했다.
오는 6월께 반환되는 미군 기지 부지는 즉시 시민공원으로 개방하겠다는 약속도 재차 밝혔다. 그는 “미국 기지와 국방부 구역도 개방해 대통령 집무실이 있는 청사에 대해 최소한의 범위에만 펜스를 설치하고 시민들이 들어올 수 있게 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윤 당선인은 “여기 공원을 이렇게 하게(만들게) 되면 잔디밭에서 결혼식도 할 수 있다. 용산 구역이 전체 한 100만 평 정도 된다”며 “시민들께 공원으로 돌려 드리는 구역인 청와대가 7만 7000평이다. 서울에 과거 이런 공원이 없었다”고 강조했다.
정치권 안팎에서 제기된 의혹에 대해서는 조목조목 해명했다. 충분한 여론 수렴을 거치지 않은 섣부른 결정이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제왕적 대통령제를 극복하기 위한 결단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제왕적 대통령제를 내려놓는 방식을 제왕적으로 한다는 말씀이신데, 결단하지 않으면 제왕적 대통령제에서 벗어나기 어렵다”며 “일단 공간이 의식을 지배한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더불어민주당 측에서 청와대 이전 배경으로 풍수지리나 무속 논란을 제기하는 데 대해 “대선 과정에서도 나왔지만 무속은 민주당이 더 관심이 많은 것 같다”고 꼬집었다. 이어 “용산 문제는 처음부터 배제한 건 아니고 저희가 (청와대 이전) 공약을 만드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대안으로는 생각을 했다”며 풍수지리나 무속을 맹신한 결정과 무관하다고 선을 그었다. 지역 주민들의 우려를 의식한 듯 윤 당선인은 “용산 지역은 이미 군사시설 보호를 전제로 개발이 진행된 만큼 청와대가 이전하더라도 추가적인 규제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 주변 지역은 원래 군사시설보호구역으로 제한을 받고 있었다”며 “주변에 신축 건물이나 아파트 등도 (기존) 제한 범위 내에서 개발을 진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