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UBS' 떼는 하나운용, 신한운용처럼 도약하나

금감원, 대주주 변경심사 진행

이르면 7월 독자경영 가능해져

상품 다양성 부족 문제 등 해소

'BNP 결별' 신한은 실적 '최대'





하나UBS자산운용이 이르면 7월 ‘UBS’를 떼고 하나자산운용으로 다시 태어난다. 2017년 하나금융투자가 하나UBS자산운용의 잔여 지분을 인수해 지분 100%를 확보하겠다고 밝힌 지 5년 만이다. 이제 눈길이 쏠리는 것은 하나자산운용의 향후 행보다. 앞서 BNP파리바와 결별한 신한자산운용은 합작사 시절에는 시도하지 못했던 상장지수펀드(ETF) 등 리테일 맞춤형 상품 확대로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승승장구하고 있다.

17일 금융 당국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하나UBS자산운용의 대주주 변경 승인 심사를 진행 중이다. 금감원의 한 관계자는 “기존 제출된 자료를 최근 상황에 맞춰 다시 제출받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지난달 27일 금융위원회가 하나UBS자산운용의 대주주 변경 승인 심사 재개를 의결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하나자산운용의 독립 경영은 이르면 7월부터 시작된다. 대주주 변경 승인 심사는 통상 3개월 정도가 소요되기 때문이다. 2017년 9월 하나금융투자가 스위스 금융그룹인 UBS로부터 하나UBS자산운용의 지분 51%를 인수하기로 합의한 지 5년 만에 결실을 맺는 것이다.

하나자산운용과 UBS의 결별이 늦어진 이유는 대주주 변경 승인 심사가 지연됐기 때문이다. 2017년 말 하나금융투자의 대주주인 하나금융지주가 ‘최순실 사태’에 휘말리며 대주주 변경 심사가 중단됐다. 이후 해당 사건은 기소에 이르지 않았지만 하나UBS자산운용 대주주 변경 심사는 하나금융그룹 지배구조 이슈와 맞물려 5년째 금융 당국에 계류됐다. 그러다 지난해 말 금융 당국이 지배구조 감독 규정을 개정해 ‘심사를 중단한 날부터 매 6개월이 경과할 때마다 심사 재개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면서 하나금융투자의 UBS 지분 인수 작업이 재개될 수 있었다.



홀로서기에 나선 하나자산운용의 최우선 과제는 시장 지배력 회복이다. 2007년 7월 하나UBS자산운용이 출범할 당시만 해도 순자산 총액 규모는 업계 최상위권이었지만 지난달 기준 12위(25조 1660억 원)로 주저앉았다. 당기순이익도 최근 5년 사이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다.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86억 원으로 2016년 111억 원 대비 22.5% 줄어들었다. 특히 금융지주들이 최근 계열 운용사들을 키우고 있는 반면 하나자산운용은 크게 뒤처져 있다. 4월 말 기준 운용 자산 규모가 KB자산은 약 123조 원, 신한자산은 74조 원, NH아문디는 54조 원이 넘는 데 반해 하나자산운용은 25조 원 수준에 그쳤다.



이번 결별을 계기로 하나자산은 은행·증권 등 그룹 시너지를 총동원해 업계 ‘톱’의 자산운용사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하나금융그룹은 국내 자산관리(WM) 시장 리테일 창구에서 최상위권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 클럽원과 골드클럽 등 다른 점포보다 경쟁 우위에 있는 센터가 수두룩하다. 이런 판매망을 통해 하나자산운용만의 DNA를 심은 펀드 판매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앞서 외국계 합작사인 BNP파리바와 지난해 초 결별한 신한자산운용도 ETF 강화, 리테일 특화 상품으로 실적 개선 효과를 톡톡히 봤다. 신한자산운용은 지난해 3월 ETF운용센터 신설, 전용 ETF 브랜드 ‘SOL’ 구축,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상품인 ‘차이나태양광’ ‘유럽탄소배출’ 등 상품을 잇달아 상장시켰다. 또 연금디지털솔루션본부를 신설해 타깃데이트펀드(TDF) 육성에 힘을 쏟았다. 그 결과 신한자산운용은 지난해 당기순이익 321억 8800만 원으로 2009년 BNP파리바와 합작사를 설립한 후 사상 최대 실적을 냈다.

자산운용 업계의 한 관계자는 “그간 하나자산운용의 아킬레스건으로 지적됐던 외국계 합작사와의 복잡한 의사결정 과정의 단순화, 상품 다양성 부족 등 문제가 해소될 것으로 본다”면서도 “자산운용업은 결국 사람 장사인데 하나자산운용의 정체된 인적 구성을 볼 때 단기간에 시장을 뒤흔들 만한 상품을 내놓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