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올해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이 상당 기간 유지될 것으로 보면서 올해 성장률이 4.3%로 5%대를 밑돌 것으로 봤다. 최대 교역 상대국인 중국의 경기 둔화로 우리나라 성장률도 영향을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5일 한국은행은 ‘중국 봉쇄조치 현황 및 경제적 영향’을 통해 “중국 정치 상황, 의료역량 및 미중 갈등 상황을 고려할 때 제로 코로나 정책은 상당 기간 유지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른 하방 리스크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한은은 올해 10월 시진핑 주석의 3연임 여부가 결정될 중국 공산당 대회가 예정돼 있어 중국 지도부가 코로나 관리를 통한 사회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둘 것으로 봤다. 다른 나라 대비 부족한 중환자 병상 수 등을 고려하면 선진국처럼 위드 코로나 정책을 시행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분석이다.
중국이 봉쇄조치를 해제한다고 하더라도 생산이나 물류 등 정상화에는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소비는 고용시장 악화, 가계부채 증가 등을 감안할 때 더딘 회복세가 예상된다. 중국은 3월 중 소매판매 증가율이 -3.5%로 20개월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4월에도 -11.1%로 더욱 악화됐다. 4월 수출증가율도 3.9%로 전월(14.7%) 대비 크게 축소됐다.
한은은 봉쇄조치와 우크라이나 사태 등 하방 요인을 고려해 중국 경제성장률 전망을 기존 5.0%에서 4.3%로 0.7%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중국이 지급준비율을 0.25%포인트 인하하고 금융 조치, 소비 촉진, 인프라 투자 확대 등 정책 대응을 하고 있지만 성장세 하락이 예상된다는 것이다.
국제기구 등 주요 기관들도 중국 정부의 정책 대응에도 불구하고 올해 중국 정부의 성장률 목표치(5.5% 내외) 달성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아시아개발은행(ADB) 전망치가 5.0%로 가장 높고 국제통화기금(IMF)이 4.4%를 전망했다. 노무라(3.9%), 모건스탠리(3.2%) 등은 4% 달성도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