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분기 외국환은행의 하루 평균 외환거래 규모가 655억 9000만 달러로 늘어나면서 2008년 통계 개편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수출입 규모가 줄었음에도 환율 변동성이 커지자 외환 거래가 늘어난 영향이다.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2분기 중 외국환은행의 외환거래 동향’에 따르면 올해 2분기 하루 평균 외환거래(현물환 및 외환 파생 상품 거래) 규모는 655억 9000만 달러로 올해 1분기(655억 5000만 달러) 대비 4000만 달러(0.1%) 증가했다.
외환거래 규모가 늘어난 것은 수출입 규모 축소에도 불구하고 환율 변동성이 확대됐기 때문이다. 원·달러 환율의 전일 대비 변동률은 1분기 중 하루 평균 0.35%에서 2분기 0.46%로 높아졌다. 수출입 규모는 하루 평균 53억 9000만 달러에서 52억 7000만 달러로 줄었다.
상품별로 살펴보면 현물환 규모가 250억 5000만 달러로 전분기 대비 9000만 달러 늘었고, 외환파생상품 거래 규모는 405억 4000만 달러로 전분기 대비 5000만 달러 줄었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국내은행의 거래 규모가 280억 3000만 달러로 올해 1분기보다 4억 7000만 달러 증가하는 동안 같은 기간 외은지점의 거래 규모는 375억 7000만 달러로 4억 2000만 달러 감소했다.
현물환 거래를 통화별로 살펴보면 원·달러 거래가 192억 6000만 달러로 6억 4000만 달러 증가한 반면 원·위안 거래는 16억 1000만 달러로 4억 2000만 달러 감소했다. 외환파생상품 중에서는 선물환 거래가 차액결제선물환(NDF) 거래를 중심으로 전분기 대비 12억 4000만 달러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환스와프 거래는 269억 9000만 달러로 외국환은행의 상호거래를 중심으로 전분기보다 11억 8000만 달러 증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