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업계가 정부를 향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바이오 산업 자국화 드라이브에 대응해 국내 업계 보호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최근 전기차 사례에서 봤듯 한국 업계에 불이익이 집중되는 일이 현실화하기 전에 정부가 먼저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셀트리온(068270)은 “미국 공장 확보를 검토하겠다”고 밝히는 등 K바이오 업계는 ‘미국산 바이오’ 정책에 대한 개별적인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한국바이오협회는 15일 성명을 통해 미국의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 제조 이니셔티브’ 행정명령에 대해 “생명공학 분야에서 미국의 자국 내 공급망을 강화하는 등 자국 역량을 강화하려는 것"이라며 “우리 정부가 큰 범위에서 접근해 국내 바이오 업계 보호를 위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고 투자확대와 혁신에 대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협회는 행정명령이 시행될 경우 "바이오 기술 전반에서 미국과 중국의 투자가 크게 확대돼 유럽, 일본 등 선진국들의 투자 확대를 촉진해 각국의 바이오 경쟁은 심해지게 될 것”이라며 “바이오 업계 경쟁력 강화를 위해 중장기 계획수립을 통한 투자확대와 혁신을 추진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바이오 업계는 일본을 비롯한 각국 정부가 ‘미국산 바이오’ 정책에서 자국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나서고 있는 만큼 우리 정부도 외교력을 총동원 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미국인플레이션감축법(IRA) 때문에 국내 전기차 산업이 불이익을 입을 위기에 놓이지 않았느냐”며 “미국의 자국중심 주의에 대응해 바이오 분야에 대한 불이익을 최대한 줄이고 혜택을 얻어낼 수 있도록 우리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위탁생산 분야에서 한국에 뒤져있던 일본이 공격적으로 움직여서 다양한 이니셔티브를 따내려고 할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와 민간이 힘을 합쳐 이제 막 성장하기 시작한 국내 바이오 산업의 불씨가 꺼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국내 주요 바이오 업체들은 미국 바이든 대통령의 발표 직후 다각적인 검토에 들어갔다. 특히 셀트리온은 이날 회사 홈페이지에 ‘주주님께 드리는 글’을 올리고 “향후 미국 내 투자에 대한 인센티브제도 등을 면밀히 검토해 셀트리온그룹에 유리하다고 판단될 경우 미국 내 직접 생산시설 확보도 적극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미국 정부의 주요 산업 자국화 흐름을 볼 때 현지 생산 체제를 적기에 검토하는 것이 낫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셀트리온은 현재 미국에서 자가면역질환 바이오시밀러 '램시마'(미국 제품명 인플렉트라)를 비롯해 '트룩시마', '허쥬마' 등을 판매 중이다. 내년 이후 미국 출시 제품은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를 통해 현지 직접판매에 나선다. 이들 제품 모두 국내 생산품이어서 만일 미국이 자국산 바이오의약품 우대를 결정할 경우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