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당역 스토킹 살인 사건’ 피해자의 큰아버지 A 씨는 지난달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악성 댓글로 인한 정신적 피해를 호소했다. A 씨는 “‘한녀(한국 여성의 줄임말로 여성 혐오 표현)가 죽는 데 무슨 이유가 있느냐’라는 댓글을 봤다”며 “같은 공간을 살고 있는 시민이 맞나 싶을 정도였다”고 토로했다.
포털 사이트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악성 댓글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이 연간 최대 35조 원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세대 바른ICT연구소는 17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황보승희 국민의힘 의원이 주최한 ‘악성 댓글 해결 및 디지털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위한 국회 토론회’에서 이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악성 댓글의 부정적 영향을 계량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소가 집계한 비용의 합계는 연간 최소 30조 5371억 원, 최대 35조 3480억 원이다. 불안·우울로 인한 행복 상실 기회비용이 28조 9335억 원으로 가장 컸다. 스트레스로 인한 능력 저하 기회비용이 1조 4095억~2조 8189억 원, 변호사 선임과 손해배상 비용이 1433억~3조 5229억 원 등으로 뒤를 이었다.
바른ICT연구소 측은 “2009년 이후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 대중화가 악성 댓글의 기폭제가 됐다”며 “낮은 공감 능력과 자기 통제력, 현실에서의 인간관계 불만족과 스트레스, 집단 동조 현상 등을 이유로 악성 댓글을 단다”고 밝혔다.
황보 의원은 “이용자 스스로가 악성 댓글의 심각성과 위험성을 자각하도록 유도하고 긍정적인 생태계를 만들어가도록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며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디지털미디어 교육을 통해 건강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