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금융지주 산하 은행들이 채권시장 안정에 긴급 투입되며 일단 시장의 불안 심리는 상당 부분 거둬들여질 것으로 전망된다. 그간 금융 당국의 유동성 대책은 은행채가 시장에 쏟아지는 상황에서는 실질적인 효과를 보기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 계속됐다. 은행의 유동성 지원도 마찬가지다. 정책금융을 통한 회사채·기업어음(CP) 매입 등이 각종 조건에 얽매여 시간이 걸리는 반면 은행들의 CP·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전자단기채 매입과 환매조건부채권(RP) 매수, 머니마켓펀드(MMF) 운용 등의 유동성 공급은 즉각적인 효과를 낼 수 있다. 일단 분기 사상 최대 실적으로 이자 장사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듣는 은행 입장에서도 시장 안정에 대한 제대로 된 역할이 필요하다. 실제 24일에 이어 26일에도 은행채는 발행되지 않았다. 다만 시장 심리 개선에는 분명한 도움이 되겠지만 시장 상황 자체가 달라진 게 아니라는 지적도 나온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내년 1분기쯤 금리가 정점으로 치솟을 가능성을 고려하면 내년에 대규모 유동성 위기가 두어 차례 올 수 있다는 것은 충분히 가능한 시나리오”라며 “위기 대응 매뉴얼을 미리 만들어야 한다”고 우려했다.
26일 금융위원회는 은행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규제를 6개월 유예하기로 한 지 6일 만에 은행권의 시장 안정 기여 상황을 점검했다. ‘뒷북’ 대응이라는 비판에서 벗어나기 위해 금융 당국이 은행을 강하게 압박하며 은행채 발행 최소화 계획 등 시장 안정 조치를 이끌어냈다. 은행채는 시장에 가장 큰 부담 중 하나였다. 올해 말까지 30조 원 이상의 은행채 만기가 예정된 만큼 은행채 폭탄이 채권시장에는 자금 블랙홀이 될 수 있다. 4대 은행이 연초 예정했던 은행채 발행액도 8조 9700억 원이나 남아 있다. 다만 은행채 발행을 최소화하며 자금 조달 계획에 차질이 생긴 은행은 수신금리 인상 경쟁에 더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수신금리 인상이 코픽스 등 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 은행채 발행으로 내줬던 기업대출도 조일 수밖에 없다. 은행들은 내년 6월까지 LCR을 92.5%로 유지하며 자금 공급 여력도 생긴 만큼 유동성 공급에 나설 계획이다. 현재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LCR은 모두 92.5% 이상이다. 여유 자금은 단기자금 시장 및 채권시장 안정을 위해 CP·ABCP·전자단기채 매입 등에 투입된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은행들이 기업 부문에 대한 자금 공급을 원활히 하기 위해 산금채 등 특수은행채 매입 및 기업대출, 크레디트라인 유지 등의 지원을 지속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증권사 유동성 지원도 시작됐다. 한국증권금융의 3조 원+α 지원은 이날 하루에만 3000억 원 이상이 집행됐다. 증금은 중·소형사를 대상으로 RP 매수와 증권 담보대출 두 가지 방식으로 자금을 공급한다. RP의 경우 기존 국공채·통안채·은행채에 회사채 AA등급 이상을 신규로 허용했다. 증권 담보대출의 경우 기존 RP 담보와 상장주식 외 회사채 AA등급 이상, CP A1등급 이상, 예금형 ABCP, 증금채를 신규 허용했다. 27일에는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에서 2조 원+α의 증권사 CP 매입 프로그램도 가동한다. 다만 예외적인 조치인 만큼 증권사의 자구 노력(확약서) 등을 전제로 자금이 지원된다는 설명이다.
한국은행도 시장에 대한 역할에 나선다. 27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는 대출 적격 담보 증권 대상을 공공기관채와 은행채까지 확대하고 은행 간 차액 결제 이행용 담보 증권 제공 비율 인상 일정을 미루는 방안을 의결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통위원들은 25일 위원협의회를 통해 이같은 안건에 대한 논의를 마쳤다. 다만 시장에서 요구해왔던 저신용등급 회사채·CP 매입을 위한 기업유동성지원기구(SPV) 재가동이나 무제한 RP 매입 등 유동성 신규 공급 방안은 안건에서 제외됐다.
한은은 이번 대책과 관련해 유동성 공급보다는 원활한 자금 순환에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한다. 대출 적격 담보 증권 대상 확대로 은행은 보유 중인 한전채 등 공공기관채와 은행채를 한은에 맡기고 활용 범위가 넓은 국고채와 통화안정증권을 돌려받아 자산을 재분배할 수 있다. 내년 차액 결제 담보 비율 80% 인상 유예 역시 은행의 숨통을 틔워줄 수 있는 조치다. 인상 유예로 담보 증권을 맡기지 않을 경우 5조 원 규모의 자금 여유가 생길 것으로 추산된다.
한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금통위를 하루 앞둔 이날 저녁 시중은행장들과 만난다. 이 자리에서 이 총재는 한은이 쓸 수 있는 카드가 제한돼 있는 만큼 민간은행들이 적극적으로 시장 안정에 나서 줄 것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현 상황에서 한은 총재가 은행장에게 할 수 있는 언급은 은행채 발행 자제와 적극적으로 시장 안정화에 개입해달라는 얘기 정도 아니겠나”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