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계가 원활한 가업 승계를 위해 정부의 세제개편안을 국회에서 조속히 통과해달라고 요구했다. 최근 국회에서 조세소위원회가 구성돼 관련 법안 심사에 돌입한 가운데 기업 승계는 ‘부의 대물림’이 아닌 ‘책임의 승계’며, 장수기업으로 성장해 일자리 창출 등으로 공동체에 기여할 수 있게 해달라는 주장이다.
중소기업중앙회를 비롯한 벤처기업협회, 한국여성경제인협회 등 13개 중소기업 관련 단체는 ‘기업승계입법추진위원회’를 22일 발족했다. 정부의 세제개편안 등 관련 법안의 국회 통과를 촉구하기 위해 꾸려진 기구다. 김기문 중기중앙회장과 곽수근 서울대 명예교수가 공동위원장을 맡았다. 추후 위원회는 국회 방문을 통해 성명서를 제출하는 등 관련 입법을 촉구하는 활동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현재 정부가 제출한 세제안에는 가업승계의 부담을 덜어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상속 공제액을 최대 500억 원에서 최대 1000억 원으로 높이고 피상속인의 지분 요건을 완화한다. 특히 사후관리 기간을 7년에서 5년으로 줄이고 업종 및 고용 등 유지 조건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 증여세 과세특례 한도 또한 100억 원에서 최대 1000억 원으로 확대하는 등의 개선안을 포함했다.
이와 관련해 이날 열린 기자회견에서 김 회장은 “우리 중소기업은 70세를 넘은 중소기업 CEO가 이미 2만 명을 넘었고 앞으로 베이비부머가 노인이 되면서 이 숫자가 5만 명, 10만 명을 넘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기업승계를 통해 1세대의 오랜 경험, 노하우와 2세대의 젊은 감각이 조화를 이뤄 혁신한다면 기업도 더 성장하고 일자리도 창출할 수 있는 만큼 세제개편안의 조속한 국회 통과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가업상속 공제한도가 500억 원이지만 사전사후 요건이 까다로워 연간 활용 건수가 100건도 안 된다”며 “사전증여 한도는 100억원으로 상속에 비해 낮아 계획적 승계가 사실상 힘든 상황”이라고 했다.
특히 일각에서 제기하는 ‘부자 감세’ 우려는 잘못된 프레임이라고 반박했다. 김 회장은 “일각에서 주장하는 부자 감세는 기업승계 현실과 전혀 다른 이야기”라며 “기업승계 지원 세제는 비업무용 부동산이나 현금에 적용되지 않고 오로지 기업 운영에 관련된 자산에만 적용된다”고 했다.
승계 문제가 단순히 중소기업인들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주장도 나온다. 곽 명예교수는 “오늘날 글로벌 기업 간 경쟁은 해당 기업 간의 경쟁을 넘어 수천 개의 협력사가 있는 생태계 간의 경쟁”이라며 “협력기업 존속이 대기업 경쟁력의 원천이기도 한 만큼 100년 기업 육성의 제도적 토대 마련을 위해서라도 중소기업의 승계를 원활하게 해야 국가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다”고 했다.
송공석 와토스코리아 대표는 “기업 자금을 세금으로 납부하는 것도 기여지만 100년, 200년 가는 기업으로 성장해 좋은 일자리와 제품 개발로 사회에 보답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달라”고 말했다. 2세대로 기업을 운영하는 한울생약의 한종우 대표는 “2세대가 젊을 때 도전 의지를 갖고 승계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이뤄지길 바란다”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