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지난해는 5% 이상 고물가 상황이 지속되면서 물가에 중점을 뒀지만 올해는 경기·금융 안정과의 상충관계(trade-off)도 면밀하게 고려해야 하는 한 해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서울외신기자클럽 기자간담회에서 “올해는 국가별로 통화정책이 차별화되는 가운데 통화정책 커뮤니케이션의 어려움이 가중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달 기준금리를 3.25%에서 3.50%로 올리면서 7연속 금리 인상을 단행했으나 올해는 속도 조절을 하겠다는 발언으로 해석된다. 금통위는 최종 금리를 3.50%로 동결해야 한다는 3명과 3.75%로 한 차례 더 인상해야 한다는 3명으로 갈린 상태다.
이와 관련해 이 총재는 최근 국고채 금리 하락을 예상했다고 했다. 이 총재는 “국고채 2년이나 3년물 금리가 떨어진 것을 두고 잘못됐다는 반응이 나왔는데 예상했던 일”이라며 “지난해 말 레고랜드 사태 이후 기준금리를 올린 이상으로 시장 금리가 굉장히 많이 올라갔다가 리스크 프리미엄이 떨어지면서 국채 금리도 다시 떨어졌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는 “물가가 떨어지고 경제성장률이 둔화되면 단기금리보다 장기금리가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짚었다. 이 총재는 올해 한국의 통화정책 운용 여건이 주요국과 차별화될 것으로 봤다. 먼저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둔화 속도가 주요국보다 더딜 수 있다고 봤다. 이 총재는 “지난해 유로 지역의 전기·가스요금 등 에너지 요금 상승률이 40%를 상회한 반면 한국은 13%에 그쳤다”며 “이에 유가 수준이 지난해보다 낮아지더라도 한국은 누적된 비용 인상 압력이 뒤늦게 반영되면서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가 더딜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가계부채, 부동산 문제도 다른 나라와 달리 감안해야 할 특수 요인으로 지목했다. 우리나라는 만기 1년 이하인 가계부채 비중이 전체의 3분의 1 수준으로 가계부채의 80%가 변동금리인 만큼 통화정책 결정을 더 복잡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이 총재는 “우리 환경을 감안하면 통화 긴축과 주택가격 하락에 대한 소비 지출이나 경기 민감도가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다”며 “금리 인상 효과의 누적으로 인플레이션과 경기 간 상충 관계가 커질 수 있어 통화정책 결정을 더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