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미국 오픈AI가 만든 사람처럼 대화하는 인공지능(AI) ‘챗GPT’에 대응한 서비스 ‘서치GPT’를 상반기 내 베타(시범) 출시한다. 챗GPT가 검색포털을 직접적으로 대체할 가능성이 생기자 오픈AI뿐 아니라 구글, 바이두 등 글로벌 빅테크들도 비슷한 서비스를 준비 중인 가운데, 네이버도 이 경쟁에 가세한다는 것이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3일 열린 지난해 4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챗GPT가 이끄는) ‘생성(generative) AI’ 트렌드에 대한 대응을 준비 중”이라며 “상반기에 네이버만의 서치GPT를 선보이는 게 목표다”라고 밝혔다.
최 대표는 “이용자 데이터와 네이버 기술(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 등)을 접목해 기존 생성 AI의 단점으로 꼽히는 신뢰성 부족, 영어의 한국어 번역 정확성 문제를 비용 효율적으로 해결하겠다”며 “지하철 요금을 묻는 질문처럼 요약된 답변이 필요한 경우에는 신뢰도 높은 출처를 함께 제공하고, 노트북 구매 관련 질문처럼 조언이 필요한 경우에도 답변의 품질 향상을 내부적으로 실험 중”이라고 했다. 네이버는 한국어 모델로는 국내 최초, 최대의 언어 모델을 보유 중이다.
서치GPT는 네이버 포털과 별개의 서비스로 먼저 출시돼 성능 시험 과정을 거친다. 이후 포털 내 도입, 검색·쇼핑·클라우드 등 사업과의 연계를 검토한다. 최 대표는 “기존 생성 AI의 신뢰 부족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이용자와 함께 고민하는 베타의 장(場)을 별도로 개설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며 “(이 과정에서) 데이터가 쌓이면 저희 (포털) 검색결과에 (서치GPT의 답변을) 넣는 방향도 적극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라고 했다. AI콜, 케어콜, 하이퍼챗 등 네이버클라우드의 챗봇, 음성대화 서비스와도 연계해 수익성을 강화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생성 AI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등 데이터를 학습한 후 이를 기반으로 기존 데이터에 없던 새로운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차세대 AI다. 대량의 텍스트 학습으로 인간 수준의 대화를 구사하는 챗GPT를 포함해 국내에서도 네이버 자회사 스노우가 이용자 얼굴 사진을 3차원(3D) 아바타로 바꿔주는 ‘AI 아바타’, 카카오 자회사 카카오브레인이 그림을 그려주는 화가 AI ‘칼로’ 기반의 ‘비디스커버’ 서비스를 하고 있다.
생성 AI 중에서도 챗GPT는 네이버, 구글, 바이두 등 검색포털을 위협하고 있다. 키워드를 검색해 나오는 수많은 검색결과 중 원하는 정보를 이용자가 직접 골라야 하는 검색포털 방식과 비교해, 챗GPT는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아 직접 답변해주는 더 편리한 정보 제공 방식을 가졌기 때문이다. 외신에 따르면 구글은 AI ‘람다’ 기반의 챗봇 ‘어프렌티스 바드(견습시인)’를 내부 테스트 중이고, 바이두도 비슷한 챗봇을 3월 출시한다. 네이버도 이 경쟁에 뛰어들겠다는 것이다.
최 대표는 “챗GPT에 대한 세계의 관심이 높은데 이것이 검색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하게 검토 중”이라며 “다만 아직은 정보의 신뢰성과 최신성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비용 효율화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