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학들의 원자력전공 신입생 수가 5년 간 20%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의 여파로 원자력 산업의 인력 수요가 감소하자 관련 학과의 인기도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원자력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분석해 15일 발표한 원자력전공 인력현황에 따르면 원자력 단일학과와 다전공 통합학과를 운영하는 국내 17개 대학의 지난해 입학생은 총 685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681명보다 소폭 늘었지만 탈원전 정책 시행 전인 2017년 874명과 비교하면 199명(19.7%) 줄어든 수치다. 재학생 수도 같은 기간 2777명에서 2229명으로 548명(22.5%) 줄었다. 입학생과 재학생 수 모두 윤석열 정부가 들어선 지난해 소폭 반등했지만 졸업생은 571명으로 전년(647명)과 비교해 여전히 감소세다.
과기정통부는 113개 기업과 기관을 대상으로 2022~2026년 5년 간 원자력 인력 수요를 조사한 결과 총 2948명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됐다. 원전 설계와 건설 분야가 1187명으로 가장 많았다.
조선학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소형모듈원자로(SMR), 용융염원자로(MSR)등 경제성·안전성을 갖춘 차세대 원전의 기술개발을 주도하기 위해 향후 우수 인력의 원자력 분야 유입을 추진하겠다”며 “기업수요에 기반한 현장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사업 발굴과 투자에 정책적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