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가 14일 주최한 ‘양자 기술의 현주소와 미래 전략과제’ 특별 토론에서 전문가들은 연구 인력 양성을 위한 선순환 생태계를 역설했다.
이동헌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는 “대학원에서 양자 분야를 공부한 소수가 일부 국내 대기업의 문을 두드리나 진로가 불투명하고 해외 포닥(박사후연구원)으로 가는 경우도 많다”며 “국내 양자 기업이 별로 없으니 양자 인력 양성이 잘 되지 않는다. 이공계 대학원의 기초 분야 지원자는 점점 줄고 있는 게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해 말 고려대가 주관하는 9개 대학 연합 양자대학원을 처음 선정한 데 이어 올해와 내년 각각 1개씩 연합 형태로 추가 선정한다. 3개의 연합 양자대학원은 정부출연연구원·기업과 함께 노력해 2032년까지 박사급 540명을 배출할 방침이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경우 출연연과 양자대학원을 열기로 하고 시범 사업으로 9월부터 표준과학연구원과 공동 연구할 대학원생을 10여 명 모집하기로 했다.
과기정통부가 양자 관련 논문 주저자와 교신 저자를 분석한 결과 국내 연구자는 500여 명에 불과하다. 양자컴퓨터 261명, 양자통신 187명, 양자센서 42명이다. 이 가운데 양자컴퓨터의 경우 미국(3526명), 중국(3282명)의 10%도 채 되지 않는다. 물리학·화학·전기전자·수학·반도체 등 융복합 기술인 양자 분야는 그동안 석·박사 과정에서 관련 과목을 들으면 졸업장에 기입해주는 식이었다. 제영호 LG전자 C&M표준연구소장은 “국내 양자 연구실에서 연구원을 채용하려고 해도 제한적”이라며 “양자 인력 풀이 좁고 얕다”고 했다. 윤석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은 “산학연의 양자 연구개발(R&D) 투자가 미국·중국·유럽·일본 등에 비해 너무 부족하다”며 “연구 인력이 국내에 자리잡을 수 있게 기업 투자를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찬용 표준연 양자기술연구소장은 “양자 인력을 양성하려면 졸업 후 연구를 할 수 있게 학교나 연구소에 대한 투자를 늘려야 한다”며 “양자컴퓨터의 경우 민간 투자가 필요한데 대기업은 20여 년 뒤 수익이 나는 사업에 투자하기 힘들다. 스타트업 지원 확대도 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성은정 표준연 연구전략실장은 “정부가 양자 분야 집중 투자에 앞서 당위성을 널리 알려야 한다”며 “대기업도 양자 분야 투자를 통해 고급 인력 양성에 일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