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부터 진행된 한국의 ‘사회적 거리두기' 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정책에 대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최선의 성과를 도출했다’는 평가를 내렸다.
23일(현지시간) OECD는 ‘다음 위기에 대응할 준비가 됐는가? 보건 시스템 복원력에 투자하기’ 보건 정책 연구 보고서에서 OECD 회원국을 A군부터 D군까지 4개 군으로 분류 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우선 보고서는 코로나19 사망률이 가장 낮은 A군 국가로 호주, 덴마크, 핀란드, 아이슬란드, 일본, 한국, 뉴질랜드, 노르웨이를 꼽았다. 사망률이 높은 D군에는 체코, 헝가리, 슬로바키아가 포함됐다. A군의 국가들은 나머지 국가들보다 평균 병원 개수가 많고 보건 및 사회 부문 고용 비중이 높았다. 보고서는 “각 국이 갖춘 보건 시스템과 코로나19 대응 성과 사이에 양의 상관 관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OECD 국가들이 시행한 봉쇄 정책 중에는 독일, 뉴질랜드, 한국의 사례를 조명했다. 보고서는 “증거에 기반한 정책 수립과 구현으로 신속하고 적극적인 대응을 한 게 유사한 성공의 핵심 요소”라며 “한국의 3T전략(검사, 추적, 격리치료)은 강력한 봉쇄 정책의 모범 사례로 인식됐다”고 말했다. 또한 “민관협력으로 2주 만에 전국 단위 검사 체계를 마련했고 모든 확진자를 지정된 시설에 격리 했으며, 추적 시스템을 마련하고 실내 출입을 규제하는데 QR코드를 사용하는 등 혁신적인 디지털 기술을 채택했다”고 언급했다.
나아가 보고서는 “보건 시스템의 복원력을 키워놔야 미래에 또 다른 위기가 발생했을 때 그 충격에 대비할 수 있다며, 회원국에 연간 국내총생산(GDP)의 1.4%를 보건 시스템 복원력 강화에 투자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