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당국 수장들이 12일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를 집중적으로 점검하고 24시간 모니터링 대응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SVB 사태가 미국 금융 전반의 시스템 리스크로 확산하지 않더라도 고강도 긴축 등으로 시장 변동성이 높아진 상태에서 국내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진단이다.
이날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이승헌 한국은행 부총재, 최상목 경제수석 등과 함께 거시경제·금융현안 관련 정례 간담회를 개최하고 SVB 사태를 집중 점검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국제결제은행(BIS) 회의 참석차 해외 출장 중이다.
SVB는 밴처캐피탈 및 기술 스타트업 전문은행으로 유동성 위기로 주가가 급락한 가운데 미국 금융당국이 은행을 폐쇄하기로 결정했다. 미국 역사상 두 번째 규모의 은행 파산으로 시장에서는 자금 조달 여건 등이 상대적으로 부실한 지역은행에서 뱅크런이나 자산 투매 등이 확대될지 지켜보는 상황이다.
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이번 사태가 미국 은행 등 금융권 전반의 시스템 리스크로 확산하지 않을 것이란 전문가들의 시각이 우세하다는 평가를 내리면서도 금융시장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확대될 가능성을 점검하기로 했다. 글로벌 금융긴축 등으로 시장 변동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국내외 금융시장, 실물경제 등에 대한 영향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정부 관계자는 “정부와 관계기관은 관련 상황을 24시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신속히 대응해 우리 경제의 부작용으로 확산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