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의 이달 7~8일 방한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한일 산업계 간 대화 채널도 속속 복원되고 있다. 양국 정부와 철강 업계가 상반기 중 민관협의회 개최를 타진하고 있고 반도체 업계도 이달 세계반도체협의회를 계기로 공급망 구축 등 양국 현안과 관련한 물밑 대화를 나눌 가능성이 크다. 여기에 이달 중순 한일경제인회의, 다음 달 9일 상의회장단 회의 등 재계 대표 간 접촉도 예정돼 있는 등 2019년 대법원의 징용배상 판결 이후 멈춰 섰던 양국 간 경제·산업 분야의 협력이 확실한 정상화 궤도를 밟을 것으로 전망된다.
1일 세종 관가 및 재계 등에 따르면 한국·일본 산업 당국과 철강 업계는 올해 상반기 중 ‘제20차 한일 철강 분야 민관협의회’를 개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한일 철강 분야 민관협의회는 양국 정부와 포스코·현대제철·일본제철·JFE스틸 등 양국의 주요 제철 기업이 철강 산업 현안을 논의하는 자리로 2018년 11월을 마지막으로 중단됐다. 이번 회의가 열리면 약 4년 반 만에 철강 분야 민간협의회가 재개되는 셈이다.
정부와 재계는 철강 분야 협의체 가동을 계기로 다른 업종까지 협력 및 소통 채널이 확산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대외 무역에서 중국 의존 리스크를 낮추기 위해서는 일본과의 협력이 절실하고 미국의 반도체지원법과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대응에서도 한일 간 공조의 필요성이 어느 때보다 커져 만시지탄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재계의 한 임원은 “소규모 개방 경제인 우리로서는 일본을 활용해 경제의 돌파구를 모색할 필요성이 크다”며 “반도체·배터리 등에서 공급망 강화, 중소·벤처 분야 협력 가능성 등을 폭넓게 타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지평 한국외대 융합일본지역학부 특임교수는 “일본 기업은 정부의 정책에 맞춰 가는 경향이 강해 한일 산업계 교류에서 양국 정상 간 대화의 영향력이 크다”며 “한일 정상이 좋은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양국 재계 간 협력에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