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정보보호산업을 30조 원대로 키우겠다는 포부를 꺼내 들었다. 이에 1조 1000억 원의 정부 예산을 투입하는 한편 1300억 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기업들을 육성하겠다는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정보보호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전략을 5일 제30차 비상경제차관회의를 통해 꺼냈다. 최근 글로벌 보안시장은 사이버위협 증가와 디지털화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국내 시장과 업체들의 경쟁력은 다소 뒤떨어진다는 지적이 있다. 이에 정책적 지원 등을 통해 정보보호산업을 육성하겠다는 생각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우선 전환되는 보안 패러다임의 주도권을 확보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겠다는 전략을 세웠다. 최근 보안 산업은 ‘경계보안’ 구조에서 ‘제로트러스트’ 구조로 바뀌고 있다. 단일 접속지점에서 강력한 보안 평가 및 통제를 적용하는 경계보안 대신 정보시스템 등에 대한 접속 요구 시 네트워크가 이미 침해된 것으로 간주하고 계속 검증하는 시스템인 ‘제로트러스트’로 체계가 전환되는 추세다. 이 과정에서 정부는 ‘제로트러스트 전환 로드맵을 수립하고 통신, 금융, 의료 등 분야에서 시범사업을 추진해 새 모델이 자리 잡아나갈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스마트공장, 스마트헬스케어, 로봇, 우주·항공 등 미래산업 분야에서 보안내재화를 통해 새로운 보안 시장을 창출한다.
물리보안을 차세대 성장산업으로 키우는 전략도 추진한다. 정부 R&D로 국산화된 핵심부품인 폐쇄회로(CC) TV 반도체칩(SoC)의 보급을 확산하고, 2세대 반도체 칩을 조속히 양산해 국산 제품의 세계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 지문 안면 중심 생체인식 성능평가 분야를 정맥 및 홍채 등으로 확대하고, AI 등 신기술을 활용해 생체인식 물리보안 시장 확대를 견인한다.
우리 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도 지원한다. 이를 위해 중동 거점을 오만에서 사우디로 재편하는 베트남 거점 신설도 추진한다.
국내 산업의 생태계 확충 방안도 시행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판교, 부울경, 송파 등 지역으로 구성된 ‘K-시큐리티 클러스터 벨트’를 만든다. 이를 통해 해외진출 가속화를 위한 전진기지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사이버보안 펀드도 조성된다. 민관합동으로 2027년까지 총 1300억 원 규모의 ‘사이버보안 펀드’가 조성돼 유니콘 기업을 키워내겠다는 생각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