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국 정부가 자국 내 비료 업체의 요소 수출을 중단했다는 외신 보도가 나온 것에 대해 우리 정부는 “공식적인 수출 통제 조치를 취하진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또한 우리나라의 비료용 요소 수입량 중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17%에 불과한 만큼 국내 수급에는 큰 영향이 없다는 게 정부 측 설명이다.
강종석 기획재정부 경제안보공급망기획단 부단장은 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주중 대사관 등 외교 당국 채널을 중국 정부는 공식적인 비료용 요소의 수출 통제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강 부단장은 “지난 2일 중국 화학비료 업체가 중국 내 공급 물량을 보장하기 위해 비료용 수출 물량을 감축한다고 발표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블룸버그는 지난 7일 중국 당국이 국내 요소 가격 상승 이후 비료 생산 업체들에 비료용 요소 수출을 제한해달라고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이로 인해 지난 2021년 중국의 요소 수출 제한 때와 같이 요소수 품귀 현상이 빚어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현재 문제가 되는 요소는 2021년 당시 공급에 차질을 빚었던 ‘산업용 요소’가 아닌 ‘비료용 요소’인데다, 비료용 요소의 경우 수입 다변화가 이뤄져 있어 수급에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는 게 정부 측 설명이다.
기재부에 따르면 전체 비료용 요소 수입물량 중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21년 65%에 달했으나, 지난해(18%)와 올해 1~7월(17%)엔 10%대 후반으로 떨어졌다. 올해 수입물량을 보면 카타르(41%)와 사우디아라비아(10%) 등 중동의 점유율이 높다. 강 부단장은 “비료용 요소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21% 정도 하향돼 있다”며 “그만큼 (가격이) 안정적이라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산업용 요소의 경우에도 수입상 특이사항이 없다고 정부는 설명했다. 강 부단장은 “민간에서 45일, 조달청에서 15일 수준의 산업용 요소를 비축해 두 달 정도의 재고를 보유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