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이 장시간 근로국가에 해당한다는 주장의 근거로 사용된 전체 근로자의 실제 근로시간이 지난 20여 년간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과 격차는 지난해 185시간으로 대폭 줄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11일 발표한 ‘근로시간 현황 및 추이 국제비교 분석’ 보고서에서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임금 근로자의 1인당 연간 실근로시간은 2001년 2458시간에서 지난해 1904시간으로 554시간 줄었다. 같은 기간 OECD 평균 실근로시간은 1767시간에서 1719시간으로 감소했다. 이에 따라 한국과 OECD 평균 간 격차는 해당 기간 691시간에서 185시간으로 좁혀졌다.
우리나라 실근로시간은 2001년 이후 500시간가량 감소해 OECD 평균 감소폭(47시간)보다 컸으며 이러한 감소폭은 OECD 국가 중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됐다.
통계 연속성이 확보된 2011~2022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근로시간은 2011년 2119시간에서 지난해 1904시간으로 215시간 줄었다. 반면 OECD 평균은 같은 기간 1739시간에서 1719시간으로 20시간 감소하는 데 그치면서 한국과 격차는 380시간에서 185시간으로 축소됐다.
경총은 파트타임 근로자를 제외한 풀타임 임금 근로자의 실근로시간을 분석한 결과도 함께 내놨다. 지난해 한국의 풀타임 임금 근로자의 주당 평균 실근로시간은 42시간이었다. OECD 평균은 40.7시간(가중평균), 41시간(산술평균)으로 한국과 격차는 각각 1.3시간, 1시간에 불과했다. 고용노동부가 주로 활용하는 산술평균 기준으로 OECD 평균과의 주당 실근로시간 차이를 연간으로 환산하면 약 52시간에 해당한다.
2001년 한국 풀타임 주당 실근로시간은 50.8시간으로 OECD 평균(40.9시간)에 비해 9.9시간 길었으나, 그 격차는 지난해 1.3시간(OECD 공표 기준)으로 크게 줄었다. 프랑스(0.4시간)과 독일(0.2시간), 이탈리아(0.5시간) 등 G7국가와 비교해도 그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컸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우리나라 근로시간이 OECD 평균과 비교해도 과도하게 길다고 볼 수 없는 수준에 도달했다”며 “우리가 장시간 근로국가라는 프레임에서 벗어나 근로시간 유연화 같은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제도 개선을 적극적으로 도모해야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