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30년까지 민관 합동으로 3조 원 넘게 투자해 첨단 로봇 관련 전문 인력을 1만 5000명 이상 양성하고 매출액 1000억 원 이상의 지능형 로봇 기업은 30곳 이상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로봇 자체 생산능력도 2021년 44%에서 2030년 80%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4일 경기도 성남시 ‘만도넥스트M’에서 2030년 20조 원(2021년 기준 5조 6000억 원)으로 성장이 예상되는 국내 로봇 산업 육성을 위해 이 같은 목표를 제시했다.
이날 발표된 첨단 로봇 산업 비전과 전략은 2030년까지 정부가 2조 원, 민간이 1조 원+α의 자금을 투입해 기술·인력·기업 등 로봇 생태계 조성을 위한 핵심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우선 감속기 등 5개 하드웨어 기술과 자율 조작 등 3개 소프트웨어 기술 등 8대 핵심 기술 확보를 위해 내년 상반기에 기술 개발 로드맵을 수립할 계획이다. 이어 제조·물류·복지·안전 등 전 산업 영역을 대상으로 로봇을 2030년까지 100만 대 이상 보급하기로 했다. 이 중 70만 대는 돌봄·의료(30만 대), 물류·배송(5만 대), 스마트농업(3만 대), 식음료 자영업(30만 대), 국방·안전(2만 대) 등의 서비스 분야에 공급하기로 했다. 이는 현재 보급된 서비스로봇 6만 3000대의 11배에 달한다. 세계 최고 수준인 제조 분야의 로봇 밀도는 종사자 1만 명당 2021년 1000대에서 2030년 1800대로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해외 진출을 위해 현재 1곳에 불과한 글로벌 로봇센터를 5곳으로 늘리고 K로봇훈련센터를 동남아 등지에 신설하는 대책도 내놓았다. 산업부 관계자는 “(2008년 제정된) 지능형로봇법을 전면 개편해 시장 진입 규제를 혁신하는 한편 로봇 특화형 보험 도입 등 산업 안전망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