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은행권과 금융사기 24시간 대응 체계 구축 상황을 점검했다고 20일 밝혔다.
금감원은 이날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김준환 민생금융 담당 부원장보 주재로 금융사기 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에는 은행연합회 및 19개 은행 금융소비자보호 담당 임원(CCO)이 참석했다.
간담회에서는 ‘24시간 대응 체계’ 준비상황 점검이 이뤄졌다. 앞서 은행들은 주중 9시~20시 이외 시간이나 주말에 금융사기 피해가 발생할 경우, 피해의심거래 탐지 및 즉시 자동 임시조치가 가능하도록 시스템 구축에 나선 바 있다.
현재 KB국민·NH농협 등 10개 은행이 이 시스템 구축을 마쳤고, 우리은행과 지방은행 등 9개 은행은 내년 1월까지 24시간 대응 체계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금감원과 은행권은 보이스피싱 예방 내부통제 시범평가 결과도 공유했다. 금감원은 일부 은행은 이상금융거래 탐지 시스템(FDS) 시나리오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지 않는 등 그 수준이 다소 미흡했다며, CCO가 업무 전반을 직접 살펴봐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금감원은 이날 은행권에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되는 비대면 금융사고 책임분담기준이 차질 없이 시행되도록 이상거래탐지 및 본인확인 시스템 구축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도 요청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